爾形焦黑如炭 (이형초흑여탄) 네 모습은 타서 숯처럼 검으니
無復舊時嬌顔 (무복구시교안) 다시는 옛날의 귀여운 얼굴 없네
嬌顔恍忽難記 (교안황홀난기) 반짝 보이던 귀여운 얼굴 기억하기 어려우니
井底看星一般 (정저간성일반) 우물 바닥에서 본 별빛 같아라
爾魂潔白如雪 (이혼결백여설) 네 혼은 눈처럼 깨끗해
飛飛去入雲間 (비비거입운간) 나르고 날아 구름 가운데로 들어가네
雲間千里萬里 (운간천리만리) 구름 사이는 천리만리
父母淚落潛潛 (부모루락잠잠) 부모는 눈물이 줄줄 흐르는구나
어린 자녀를 잃고 그 묘비에 새긴 정약용 선생의 한시를 거문고의 울림 같은 목소리로 장석남 시인이 한 줄 한 줄 읽어 내려가는 동안,
자식을 잃은 부모의 마음이 전해져 황수경 아나운서와 객석의 눈가가 촉촉해진다.
제목 | 날짜 | ||
---|---|---|---|
124 | [시] 혼자가는 먼 집 / 허수경 | 92 | 2007/08/19 |
123 | [시] 여우난골족 / 백석 [1] | 123 | 2020/05/07 |
122 | [시] 한충자 / 내손 | 138 | 2019/01/01 |
121 | [시] 가로수 마네킹 / 강서연 [3] | 143 | 2016/11/30 |
120 | [시] 낙화 / 이형기 | 166 | 2016/12/03 |
119 | [시] 내가 사랑하는 사람아 / 용혜원 | 348 | 2015/08/31 |
118 | [시]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 / 백석 | 358 | 2015/08/25 |
117 | [시] 찔레꽃 - 송찬호 | 555 | 2015/08/05 |
116 | [시] 사모 - 다큐 3일, 묵호항 편에서(고석기) | 1013 | 2015/08/25 |
115 | [동시] 시 쓰고 혼났다 | 1481 | 2014/01/24 |
114 | [시] 우리는 / 김용택 | 2587 | 2006/03/06 |
113 | [시] 가지 않은 길 | 2642 | 2006/08/16 |
112 | [시] 막걸리 / 천상병 | 2645 | 2006/10/09 |
111 | [시] 연인의 곁 | 2647 | 2007/03/03 |
110 | [시] 기일 紀日 | 2688 | 2006/02/21 |
109 | [시] 사랑 / 바울 | 2703 | 2007/04/01 |
108 | [시] 버드나무 / 최광임 | 2704 | 2006/11/29 |
107 | [시] 그대는 왠지 느낌이 좋습니다 / 김현태 | 2712 | 2006/03/06 |
106 | [시] 유리창 / 정지용 [1] | 2714 | 2006/09/18 |
105 | [시] 행복 | 2728 | 2006/06/22 |
KBS 낭독의 발견 장성남 시인의 낭독
딸이 생겼는데 24개월만에 돌림병으로 죽게 되요. 묘지에 새긴 시에요.
어린 자녀 묘비에 새긴 詩 / 정약용
15분 쯤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