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프로젝트가 거주할 장소를 만들 시점이다. 깃과 깃허브는 당신의 프로젝트와 그 화일들, 깃이 저장한 화일들의 모든 버전에 접근할 수 있는 디지털 디렉토리나 저장공간을 저장소(repository 줄여서 repo)라고 한다.
GitHub.com으로 돌아가서 사용자명 다음에 있는 작은 책 아이콘을 클릭한다. 혹은, 모든 아이콘이 다 똑같아 보인다면 new repository page로 간다.저장소에 짧고 기억할만한 이름을 준다. 재미삼아 public으로 해본다.
“Initialize this repository with a README.” 앞의 체크박스는 신경쓰지 않는다. Readme 화일은 보통 프로젝트에 관해 설명하는 텍스트 화일이다. 여기선 연습삼아 로컬에서 자신의 Readme 화일을 만들 것이다.
녹색의 “Create Repository” 버튼을 클릭한다. 이제 프로젝트가 거주할 온라인 공간을 가진 것이다.
제목 | 날짜 | ||
---|---|---|---|
167 | [X61] 뱅킹에서 빨콩 날아다니는 증상 [1] | 9485 | 2008/12/10 |
166 | [하드웨어] 컴퓨터 관련 포럼 [1] | 9493 | 2009/09/23 |
165 | [윈도우] 마우스키 설정으로 컴퓨터 하기 | 9497 | 2013/07/27 |
164 | [하드웨어] USB가 고장났다. | 9512 | 2009/11/06 |
163 | [웹로그] MySQL 관련 팁 | 9515 | 2010/09/19 |
162 | [하드웨어] 잉크 토너 구매 | 9524 | 2010/03/08 |
161 | 비스타>계속 하려면 사용 권한이 필요합니다. | 9546 | 2008/10/02 |
160 | [미디어/녹음·재생] 프로디지 녹음하기 | 9550 | 2009/01/11 |
159 | [브라우저] 크롬을 좀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 9567 | 2009/01/06 |
158 | [웹로그] mysql의 최대 성능 향상 방법 | 9612 | 2010/09/19 |
157 | [메신저] MSN 자동 로그인 해제하기 | 9623 | 2009/07/31 |
156 | [하드웨어] 어머니 노트북 구매하기 | 9626 | 2009/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