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구 콘솔 하드 설치법
1. 윈도우즈 XP 설치 시디를 시디롬 드라이브에 삽입하고 시작버튼 >> 실행 메뉴에서 "[시디롬 드라이브명]:\i386\winnt32.exe /cmdcons"를 기입하고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복구 콘솔 설치가 시작된다.
2.복구 콘솔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7MB의 공간이 사용된다
3."새로 설치"로 설치를 진행한다.
4.인터넷으로 설치 파일을 업데이트 한다. 왠지 찝찝하다면 "취소" 버튼을 클릭하여 기존 복구 콘솔로 설치할 수 있다.
복구 콘솔 제거
만약, 복구 콘솔을 제거할 시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거한다.
우선, 폴더 옵션에서 "보호된 운영 체제 파일 숨기기" 항목의 체크를 풀고 "숨김 파일 및 폴더 표시" 항목에 체크하여 모든 파일을 볼 수 있도록 한다.
1.우선, 폴더 옵션에서 "보호된 운영 체제 파일 숨기기" 항목의 체크를 풀고 "숨김 파일 및 폴더 표시" 항목에 체크하여 모든 파일을 볼 수 있도록 한다.
2. 다음으로는 부트 파티션(C:)의 루트에 있는 "cmdcons" 폴더와 "cmldr" 파일을 제거한다.
3."boot.ini" 파일에서 복구 콘솔 관련 항목을 지운다.
"C:CMDCONSBOOTSECT.DAT="Microsoft Windows XP 복구 콘솔" /cmdcons"
제목 | 날짜 | ||
---|---|---|---|
599 | [리눅스서버] 리눅스 디렉토리별 용량 체크하는 방법 | 114 | 2020/11/26 |
598 | [리눅스서버] 리눅스 마운트 퍼미션 | 117 | 2017/06/17 |
597 | [윈도우서버] robots.txt 인식이 안될 경우. | 118 | 2019/02/27 |
596 | [윈도우서버] xampp 로컬테스트 계정 생성 | 118 | 2020/04/20 |
595 | [리눅스서버] nginx upstream 성능 최적화 | 120 | 2017/04/24 |
594 | [리눅스서버] 서버 locale 설정 | 122 | 2017/03/31 |
593 | [윈도우] 갑자기 윈도우10 알트탭(alt + tab)이 정상 사용 안될 때 확인 및 처리 방법? : 네이버 포스트 (naver.com) | 124 | 2023/03/17 |
592 | [리눅스서버] adduser 원하는 디렉토리에 유저 생성하기 | 126 | 2017/06/23 |
591 | [엑셀] 엑셀 vba 공부할 수 있는 사이트 | 126 | 2019/02/04 |
590 | [jQuery] 텍스트 추출해서 링크 변환하기 | 130 | 2021/12/25 |
589 | [텔넷] tar, bz2 압축 과 압축해제 | 131 | 2017/06/07 |
588 | [브라우저] 브라우저 중복 즐겨찾기 정리 프로그램 | 135 | 2015/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