밴드의 시대 음악은 정말 미친다.
밴드의 시대 3라운드 장르파괴에서 구남과여라이딩스텔라와 몽니의 대결 중
몽니의 바보처럼 살았군요는 정말 음악도 명곡이지만 무대 자체도 미친 무대였다.
항상 인생이란 후회하는 것 같다. 지나고 나면 내가 정말 바보 같이 살았다는 것을 깨닫곤 한다.
지금 인생이 얼마나 한심한지 후회만 하다 결국 지나고 나면 후회했던 행동들을 다시 또 후회하는 바보 같은 삶을 살고 있다.
이 허무한 고리를 어떻게 끊을 수 있겠나.
다만 '사는 게 니나노' 할 수 밖엔,
산다는 건 살아있는 것만으로도 즐거울 수 밖에 없다.
그러니 살 수 밖에.
북한에서 온 소해금 연주자 박성진 씨가 부른 찔레꽃입니다.
북한에서 오신 분들 노래를 들어보면 그네들만의 무언가가 너무 많이 느껴지는 것 같습니다.
한인지, 북에 두고 온 가족에 대한 추억인지
1996년도는 우리나라 가요시장에 있어서 황금기가 아니었을까 한다.
그 시절 8월 둘째주 가요톱텐을 보면
1,2위 후보가 클론 꿍따리샤바라와 DJ.DOC - 여름이야기였으며, 3위 신승훈부터 룰라의 3!4! ,비비, 김건모 등
지금 들어도 그 음률이 떠오르는 명반들이었다. 당시 클론의 꿍따리 샤바라가 골든컵 수상에 96년의 여름을 강타했었지..
룰라의 3!4!도 정말 들으면 향수 짙은 노래인데 지금은...
클론 - 꿍따리 샤바라
DJ.DOC - 여름이야기
바람, 어디에서 부는지
덧문을 아무리 닫아보아도흐려진 눈앞이 시리도록날리는 기억들
어느 샌가 아물어버린고백에 덧난 그 겨울의 추억
아, 힘겹게 살아간 기억이제는 뒤돌아 갔으니
바람은 또 어디에서 불어오는지내 맘에 덧댄 바람에 창 닫아보아도흐려진 두 눈이 모질게 시리도록떠나가지 않는 그대
혼자라는 게때론 지울 수 없는 낙인같아살아가는 게나를 죄인으로 만드네
혼자라는 게때론 지울 수 없는 낙인처럼살아가는 게나를 죄인으로 만드네
너무 사랑을 하면 헤어지는 거라는 그 알 수 없는 얘기들이 너를 사랑해도 되니 너를 좋아해도 되니 너에게 나는 늘 있는거니 왠지 부활의 사랑이라는 곡이 떠오르는 가사다. 그 사람을 사랑해도 될까, 그랬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그 사람이 나를 싫어하게 될 때에도 그 사람을 사랑할 수 있을까. 그 사람은 그런 걸 확인하고 싶진 않았겠지. 그 사람이 나를 싫어하게 되면 떠나줘야 되는 게 그 사람에 대한 예의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