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소식이 있나요?
  • 이미지
    2013-09-17
    한글날을 맞아 한글문화연대와 국립국어원이 순화어로 바뀌어야 할 단어를 발표했다. 이 가운데에는 IT용어와 금융ㆍ경제 용어가 대다수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글문화연대는 `쉬운말운동'을 통해 2012년 바뀌어야 할 31개의 순화어를 발표했다. 대표적인 순화어로 꼽힌 IT용어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소셜 커머스, 오픈마켓 등이었다. SNS는 누리소통망(서비스)... 더보기
  • 이미지
    2013-08-04
    독녀들 광화문아띠라고 아니? 서울시 측에서 시민 공모를 통해 지은 세종문화회관 지하 식당가 이름이야 아띠가 '친구, 사랑'을 뜻하는 순우리말이라 해서 당선이 되었지 벋뜨 ????? Aㅏ...낚였어요... 그런 단어는 없음... 옛날에 썼던 증거도 없음... 결국 서울시 曰 "검증 과정에 문제가 있었지만, 정감 가는 이름이니 하나의 고유명칭으로 봐 달라." 관련 기사) '아띠'?…서... 더보기
  • 이미지
    2011-10-14

    '삼가다'가 기본형이므로 활용하면 '삼가'가 된다.

    '주십시오'의 '-십시오'는 청유나 명렁 따위를 나타내는 어미로 맞는 표현이다.

    삼가해주십시오 → 삼가주십시오.

  • 이미지
    2011-03-29
    불볕더위가 한창인 요즘 열대야에 지친 사람들의 소망을 담은 아래 표현 중 정확한 것은? ① 폭염이 사그러들고 바람이 제법 선선하다. ② 폭염이 사그라들고 바람이 제법 선선하다. ③ 폭염이 사그러지고 바람이 제법 선선하다. ④ 폭염이 사그라지고 바람이 제법 선선하다. 익숙한 사지선다형 문제지만, 알쏭달쏭 고르기는 쉽지 않다. 우선 정답부터 이야기하자면 ④번이 맞다. 주... 더보기
  • 이미지
    2009-10-12

    메꾸다라는 단어를 보고 매꾸다인 줄 알았으나, 둘 다 땡.

    정답은 메우다임..;;

  • 이미지
    2007-11-19
    1. 아기가 책을 꺼꾸로 보고 있다.(꺼꾸로 → 거꾸로) 2. 소가 언덕빼기에서 놀고 있구나.(언덕빼기 → 언덕배기) 3. 딱다구리가 쉴새없이 나무를 쪼고 있다.(딱다구리 → 딱따구리) 4. 땀에서 짭잘한 맛이 났다.(짭잘한 → 짭짤한) 5. 오늘은 페품을 내는 날이다.(페품 → 폐품) 6. 김건모의 핑게라는 노래가 인기있다.(핑게 → 핑계) 7. 내 작품이 교실 계시판에 붙어있다.(계시판 →... 더보기
  • 이미지
    2007-09-10
    제목이 너무 낚시성인가요. 하여튼. -_-; 한참 정글 추천 웹사이트를 돌아다니다가 나무 액터스까지 가게 됐습니다. http://www.namooactors.com/star/kimtaehee/ 김태희 공식 홈페이지 정도인데요. 거기 보면 스케쥴이란 메뉴에 소속 연예인들의 인사말이 있는데.. 김태희씨 인사말은 보는 순간 후덜덜해지더라고요. 아래는 원문인데, 왜 놀랬냐면 어찌 저렇게 맞춤법을 지켜서... 더보기
  • 이미지
    2005-09-09
    http://miniwini.com/miniwinis/bbs/index.php?bid=talk&mode=read&id=60711인터넷을 돌아다니다보면 우리들은 흔히 잘못된 국어 표기법을 접하게 된다. 얼마 전엔 광고랍시고 포토샵으로 만들어놓은 배너에까지도 잘못된 표기가 범람하고 있었다. '원래'라는 의미는 '원악(x)'이 아닌 '워낙(o)'이라고 쓰는 거죠. 이 글을 본 누구는 '워낙'을 '원악'이라고 쓰는 게 맞는 걸까? ... 더보기
  • 이미지
    2004-05-29
    http://miniwini.com/miniwinis/bbs/index.php?bid=qna&mode=read&id=11702소갯말 > 소개말 철자법 오류 철자 검사를 해 보니 이 어절은 분석할 수 없으므로 틀린 말로 판단하였습니다. 후보 어절은 이 철자검사/교정기에서 띄어쓰기, 붙여쓰기, 음절대치와 같은 교정방법에 따라 수정한 결과입니다. 후보 어절 중 선택하시거나 오류 어절을 수정하여 주십시오. * 단, 사전에 없... 더보기
  • 이미지
    2004-05-29
    <구별해씁시다> ‘맞추다’와 ‘맞히다’의 구별 ▶ 맞추다 어떤 것을 다른 것과 나란히 놓고 비교하여 살피다. 시험을 본 후에 시험의 답을 정답이나 다른 사람의 답과 비교해 보는 것을 이른다. ¶ 시험이 끝나자 아이들은 서로 답을 맞추어(*맞히어) 보느라 바쁘다. ▶ 맞히다 문제에 대한 답을 정답이 되게 대다. 시험이나 퀴즈에서 제시한 답이 정답과 일치함을 이른다. ¶ 아이는 수수께끼의 답을 맞히지(*맞추지) 못했다. [야후 국어 사전 참조] http://kr.kordic.yahoo.com/search/kordic?p=맞추다  [새창에서 열기]
  • 이미지
    2003-05-12
    ゆとり 유도리 ゆとり는 시간, 금전, 기력 등의 여유를 뜻하는 말입니다. 예를 들어 "ゆとりのある生活(せいかつ)"라고 하면 "여유있는 생활"이라는 의미가 되겠죠. "사람이 좀 유도리가 있어야지 그렇게 꽉 막혀서야..." "그렇게 유도리가 없어서야 어디 세상 살아가겠어" 등 우리 일상생활에서 많이 쓰이고 있는데, 이럴 땐 여유, 융통성 등으로 바꿔써야겠네요 (저는 융통성... 더보기
  • 이미지
    2003-05-12
    필력(筆力)[명사]1.글씨의 획에 드러난 힘. 필세(筆勢). 2.문장의 힘. 피력(披瀝)[명사][하다형 타동사][되다형 자동사] 마음속의 생각을 숨김없이 말함(털어놓음). ¶ 소감을 피력하다....헷갈리지 않도록 주의해서 써야겠죠? ^^; [참고]야후! 국어사전필력 ( http://kr.kordic.yahoo.com/search/kordic?p=%C7%CA%B7%C2 )피력 ( http://kr.kordic.yahoo.com/search/kordic?p=%C7%C7%B7%C2 )
  • 이미지
    2003-05-11
    일상 생활에서 헷갈리는 단어잔디, 잔듸에 대해 알아봅니다.{누구라도 코멘트를 통해 참여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