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접근성의 필수 요소
- 컨텐츠 : 웹페이지 또는 웹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정보
- 사용자 도구 : 웹브라우저, 모바일 앱, 미디어 플레이어 등
- 보조공학 : 스크린리더, 대체 키보드, 스위치, 스캔, 소프트웨어 등
- 사용자 : 웹을 사용하는 사람들(장애인 등 특별한 기술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 포함)
![이미지_1.jpg](/files/attach/images/20240/702/340/3bd382849e1b22bee74fd2f1b6f48134.jpg)
웹접근성의 법률 제정
웹접근성의 원칙과 검사항목
원칙1. 인식의 용이성
![이미지_2.jpg](/files/attach/images/20240/702/340/3440e9f757553833042c4ffc8379bcc8.jpg)
원칙2. 운용의 용이성
![이미지_3.jpg](/files/attach/images/20240/702/340/7a801a8255e05a1bcb3aa786e83edd83.jpg)
원칙3. 이해의 용이성
![이미지_4.jpg](/files/attach/images/20240/702/340/49e3fffdd8bb25d6ab071c84e1a68598.jpg)
원칙4. 견고성
![이미지_5.jpg](/files/attach/images/20240/702/340/f80de228d2966f4f142e58934b65cb3c.jpg)
이렇게 크게 4가지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막상 적용사례나 잘못된 사례를 봐도 어렵기만 합니다.
간단하게 정리하겠습니다.
1.1대체 텍스트 | 이미지만 제공하는게 아닌 텍스트 제공 <img alt="설명"> 적극 활용 | alt=" " 불가 최신 업데이트 필수 의미 정확해야 함 |
1.2멀티미디어 대체 수단 | 동영상 제공시 지문이나 수화 필요 콘텐츠를 색만으로 구분하게 해서는 안됨 |
|
1.3명료성 | <,>같은 문자만으로 지시사항 전달은 불가 명암대비가 4.5:1을 만족해야 함 자동재생 콘텐츠 불가 | 검은 배경, 흑색 글씨 등은 불가 |
|
|
|
2.1키보드 접근성 | onfocus나 onblur등을 활용 초점이 맞춰있는 부분을 나타내는 효과 필요 |
|
2.2충분한 시간 제공 | 몇 초후 바로 넘어가는 페이지 불가 |
|
2.3광과민성 발작 예방 | 깜박이거나 번쩍이는 콘텐츠 불가 |
|
2.4쉬운 네비게이션 | 본문 바로가기 등을 제공 페이지 구분위해 적절한 제목 제공 | <frame title="제목"> 빈프레임 <frame title="빈프레임"> |
|
|
|
3.1가독성 | 웹에서 사용하는 언어를 명확히 해야함
|
|
3.2예측 가능성 | 팝업창이 뜨는곳은 미리 알려야 하고, 키보드로도 접근 가능해야 함 |
|
3.3콘텐츠의 논리성 | 요약정보를 표시 summary,caption 속성 사용 |
|
3.4입력 도움 | label for속성 활용하여 레이블 제공 오류시 쉽게 정정이 가능해야 함 |
|
|
|
|
4.1문법 준수 | 중복 선언 불가 및 중첩 관계를 확실히! |
|
4.2웹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 실버라이트,액티브x 불가시 대체 콘텐츠 필요 |
|
어떻게 보면 복잡하고, 쉽기도 하네요.
처음 구축단계부터 웹 접근성 준수가 필요하겠고, 브라우저나 디바이스별 준수도 필요할 듯 싶습니다.
웹표준 뿐만 아니라 웹 접근성 공부도 좀 해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