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소식이 있나요?
  • 이미지
    2016-02-15
    글본문

    함께 설치하면 좋은 모듈

    sejin7940_readed_count - 조회수 기능 확장 애드온 ver. 1.6

    http://www.xpressengine.com/index.php?mid=download&search_keyword=%EC%A1%B0%ED%9A%8C%EC%88%98&package_srl=19960240


    click 할때 마다 조회수 증가하기

    xe - modules - document - document.controller.php
    =================================================
    xe - modules - document - document.controller.php 열고
    line 846쯤에

            // Pass if read count is increaded on the session information
            if($_SESSION['readed_document'][$document_srl]) return false;

            // Pass if the author's IP address is as same as visitor's.
            if($oDocument->get('ipaddress') == $_SERVER['REMOTE_ADDR'])
            {
                $_SESSION['readed_document'][$document_srl] = true;
                return false;

       }
    이 부분을 모두 주석처리 혹은 삭제(자기가 쓴글은 제외입니다.)
    ==================================================
    만약 자기가 쓴 글을 자기가 클릭할때도 조회수가 올라가게 할려면
    위 부분 바로 아래에 

      // Pass ater registering sesscion if the author is a member and has same information as the currently logged-in user.
      if($member_srl && $logged_info->member_srl == $member_srl) {
       $_SESSION['readed_document'][$document_srl] = true;
       return false;
      }


    이부분까지 주석처리하거나 삭제하시면 됩니다.


    xe\modules\document\document.controller.php

     

    802라인 부근에서 아래 부분을 주석 처리

     

      /**
      if($_SESSION['readed_document'][$document_srl]) return false;

      // Pass if the author's IP address is as same as visitor's.
      if($oDocument->get('ipaddress') == $_SERVER['REMOTE_ADDR'])
      {
       $_SESSION['readed_document'][$document_srl] = true;
       return false;
      }
      **/

     

     자기사 쓴 글에 대해서도 조회수가 올라가게 수정하려면

     

      // Pass ater registering sesscion if the author is a member and has same information as the currently logged-in user.
      if($member_srl && $logged_info->member_srl == $member_srl) {
       $_SESSION['readed_document'][$document_srl] = true;
       return false;
      }

     

    여기까지 주석 처리 해주시거나 삭제

    출처 : http://www.vnote.kr/XPRESSENGINE/303

    함께 설치하면 좋은 모듈 sejin7940_readed_count - 조회수 기능 확장 애드온 ver. 1.6 http://www.xpressengine.com/index.php?mid=download&search_keyword=%EC%A1%B0%ED%9A%8C%EC%88%98&package_srl=19960240 click 할때 마다 조회수 증가하기 xe - modules - document - document.controller.php ================================================= xe - modules - documen... 더보기
  • 이미지
    2016-02-13
    글본문

    1. 크롬 확장도구 FirePHP4Chrome 을 설치합니다.

    2. 설치된 XE의 config 디렉토리 아래에, config.user.inc.php를 수정해줍니다.

    define('__DEBUG__', 1);
    define('__DEBUG_OUTPUT__', 2);
    define('__DEBUG_PROTECT__', 0);
    

    사용법 

    http://xinics.tistory.com/73

    3. 원하는 곳에 debugPrint() 코드를 삽입하여, 크롬 개발자도구(F12)에서 내용을 확인하면서 수정하면 됩니다.

     

    참조 

    https://www.xpressengine.com/qna/18668806

    http://www.xeschool.com/xe/index.php?mid=documents_for_debug&entry=XE%EC%BD%94%EC%96%B4%EB%A5%BC+%EC%9C%84%ED%95%9C+debugPrint()

    1. 크롬 확장도구 FirePHP4Chrome 을 설치합니다. 2. 설치된 XE의 config 디렉토리 아래에, config.user.inc.php를 수정해줍니다. define('__DEBUG__', 1); define('__DEBUG_OUTPUT__', 2); define('__DEBUG_PROTECT__', 0); 사용법 http://xinics.tistory.com/73 3. 원하는 곳에 debugPrint() 코드를 삽입하여, 크롬 개발자도구(F12)에서 내용을 확인하면서 수정하면 됩니다. ... 더보기
  • 이미지
    2015-09-22
    글본문

    0. 서론

    안녕하세요.
    최근에 뉴비로 들어와서 제작의뢰 게시판이나 문의게시판에 뻘글 올리던 사람입니다.

    결론부터 쓰자면, 이제, 아마도 평생, 적어도 한동안은 XE 안 쳐다볼 것 같습니다.
    XE였으면 몇십만원 들여 개발자 구해 실현했어야 할 뷰들이 WP에서는 테마 한 개 사서 혼자 5시간 작업하니까 얼추 나오는 걸 보고 화도 안 나고 그냥 허탈합니다.

    그래서 하소연이라도 하려고 포럼 들어와 보니 방금 어떤 분이 "검색중 XE와 워드프레스 관련 글이 있어서 공유"하신 걸 봤습니다.
    저는 그 내용과는 좀 안 겹치는 얘기를 해 볼까 합니다.
    무슨 프로그램이든 무대포 돌격으로 이것저것 만지면서 적용 위주로 배워 써먹던 한 초짜 개발자가, 그렇게 WP는 공략해 놓고 XE는 그렇게 못하게 된 얘기입니다.
    한때는 XE를 어떻게든 잘 활용해 보려고 안간힘을 썼던 한 사람의 주관적인 의견이니 무시하셔도 좋습니다.

     


     

    1. 레이아웃

    음 글쎄... 그 개념 자체가 좀 촌스럽다는 생각이 가장 먼저 들었습니다.
    어쨌든 스태틱 파일인 layout.html 하나를 가지고 모든 뷰를 다 만든다(만들 수 있다)라는 개념 말입니다.
    무슨 티스토리도 아니고 말이죠.
    MVC 프레임워크를 도입하는 것 자체가 '가급적 코드들을 분산 관리한다'의 철학을 채택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던가요?
    XE는 다른가 보죠? *.class.php 파일은 그토록 많이 필요하지만, 레이아웃은 단 하나의 페이지로 통제되는 것이 best practice인 건가요?
    잘 모르겠습니다. 코드이그나이터, 라라벨, 익스프레스, 워드프레스, 제가 아는 어느 MVC CMS도 그렇게 하지 않는데 말이죠. 텍스트큐브 정도라면 모를까. (텍스트큐브는 차라리 블로깅 툴임을 선언하고 있기라도 합니다. 결론부에서 좀더 말하겠습니다.)

    그보다 더 심각하게 물어보고 싶은 건 XE템플릿언어라는 것 자체에 대한 의문입니다.
    include 태그로 각종 템플릿 파일들을 조각조각 끌어다 쓸 수 있는 걸 보고 처음엔 어이가 없었습니다.
    이럴 거면 앗싸리 그냥 다 php로 하지 않고?

    생각을 해 봤습니다. XE core 개발팀이 바보는 아닐 테고 여기에는 무슨 깊은 뜻이 있을 것이다.
    그게 뭘까...
    크게 두 가지를 추측해 봅니다.
    1. "php를 모르는 일반인도 자기만의 레이아웃을 만들 수 있도록 도와주자!"
    또는,
    2. "괜히 코드 꼬여서 에러 나지 않도록 서버가 몽땅 다 컴파일하게 만들어주자!"
    그런 배려심에서 나온 것이 layout.html 개념인 것 아닐까, 라고요.

    먼저, 진입 장벽의 문제.

    글쎄요, php를 모르는 일반인들의 장래를 위해 우리가 택해야 할 방침은 어떤 것일까요?
    오직 XE 코어 밑에서만 굴러가는 {$layout_info->header_text} 같은 걸 공부시키는 것일까요,
    <?php echo $layout_info->header_text(); ?>처럼 전세계 php 포럼에서 모두 이해하는 표준 코드를 이해시키는 것일까요?
    나중에 이 일반인이 ->가 뭘 의미하는지 알고 싶을 때, 그는 이게 php의 지시자라는 것을 짐작이나 할 수 있을까요?
    그리고 그가 열심히 배운 XE 템플릿 언어의 규칙들이, 정신없는 개발 여건 변화에 적응이나 할까요?
    왜 멀쩡한 코어는 또 업데이트해서 호환성 안 맞게 만드냐고 괜히 열이나 내지 않을까요?

    그리고 더 심각하게, 서버 컴파일 원칙의 문제.

    좀 과격하게 짧게 물어보겠습니다.
    레이아웃 안에서 php 코드가 실행되었다가 에러가 날 수 있다고 합시다. 그래서요? 뭐가 어떻단 말입니까? 뷰 개발자가 에러를 볼 일이 없는 MVC가 과연 best intention인가요?

    예전에 온라인 매거진 사이트를 만들어야 할 일이 있어서,
    이제 막 include() 함수랑 $_GET 변수 가지고 신기해하던 시절에 다짜고짜 워드프레스 개발을 한 적이 있었습니다.
    %s 변수 잘못 썼다가 head 이하 아무것도 출력 안 되는 버그도 겪어 보고 정말 별별 에러케이스를 다 본 것 같습니다.
    그러다 보니까 '아... 내가 지금 뭘 하고 있구나'라든가 '음 여기서 이걸 입력하면 높은 확률로 에러가 나겠구나' 같은 감이 옵디다.

    XE는 그런 게 전무하더군요.
    내가 어디서 뭘 잘못했는지, 이 <block> 안에서 뭐까지 끌어올 수 있는지가 도통 직관되지가 않습니다.
    그 에러의 경향이라도 좀 읽어보고, 이 함수 저 변수 시도해 볼 수 있으면 참 좋을 텐데, 그게 어려웠습니다.
    그럴 수밖에 없죠. 어쨌든 우리가 보는 건 layout.html이 아니니까요. 그걸 매 request 때마다 일일이 읽어서 빈칸을 채워 제출하는 index.php니까요.

    과연 이렇게 php의 현관을 잠그고 XE템플릿의 창문만 열어놓는 것이 향후 발전과 시장 확대로 걸어나가는 최선의 방침인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레이아웃에서든 모듈에서든 어디서든, php 기반 웹프레임워크라면 표준 php 코드는 (적정한 권한과 조건이 갖춰질 때) 언제나 굴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에러가 나든 유니콘이 만들어지든 그건 그 개발자의 잠재력과 의도에 의한 것이어야 하지, XE템플릿이라는 언어에 의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점에서 XE 레이아웃은 정말 적응하기 어려운, 멀고 낯선 세계였습니다. 분명 php 기반이라고 하는데도요.

     


     

    2. XMLQuery

    제가 보알못(보안은 알지도 못하는넘)이라서 죄송합니다. 그냥 무식이 배짱이라고 갈 때 가더라도 할 말은 하고 가겠습니다.
    이게 도대체 뭔가요???

    너무 궁금해서 여기저기 찾아봤습니다.
    사실 내가 모르는 것일 뿐 이것도 엄연한 쿼리 질의 표준 방식이었던 것은 아닐까... 하고요.
    적어도, 각종 조건절이 담겨 있는 .xml 파일을 가지고 통신하는 규약이, 대세가 아님은 분명해 보입니다.

    개발 중인 웹서비스에서, 전체 게시물 중 특정 태그를 가진 글들을 뽑아오고 싶었습니다.
    XE에서는 xml파일과 콘텐츠위젯 코드 수정 작업 의뢰를 해야 구현되는 것이었습니다.
    전문가님이 열심히 개발해 주신 코드를 위로 읽고 아래로 읽어봤지만 그 로직이 이해가 되지 않았습니다.
    워드프레스에서는, 다들 아시겠지만, 두 줄이면 됩니다.

    $args = array('tag' => 'foobar', 'showposts'=>5, 'caller_get_posts'=>1);
    $my_query = new WP_Query($args);

    물론 '태그는 XE에서 잘 안 쓰는 것이다' 등의 반론이 있을 수 있겠습니다.
    그럼 또 물어보고 싶습니다. 태그든 뭐든, 왜 .xml 파일 없이는 아무 질의도 하지 못하는 거죠?

    1. 다양한 DB 호환의 문제

    xml쿼리 규약을 채택한 이유가 "다양한 DB에 호환되게 하기 위해서"라고 들었습니다.
    그런데 솔직히 까놓고 얘기해서, php 굴리는 한국 리눅스 웹서버가 몽고DB를 씁니까, NoSQL을 씁니까? 그냥 phpMyAdmin 깔아서 쓰잖아요.
    그리고 막말로, 앞으로 제가 살면서 DB를 바꾸면 얼마나 바꾸겠습니까?

    서버가 어떤 종류의 DB를 채택했는지는 CMS가 알아서 기억해 뒀다가, 그 설정값 따라서 XEquery() 따위의 함수가 자동 동작하게 만드는 것만으로는 부족한가요?
    아닌 게 아니라 Cubrid, mysqli, innodb 등등에 대한 .class.php가 각각 다 있더군요.
    왜 이 파일들이 한번 일하고 XML이 한 번 더 일하는 건가요? 그런데 왜 다른 CMS들은 제게 이런 걸 시킨 적이 없는 거죠?
    그렇게 생각해 보면 이건 정말 과한 표준규격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거의 XE를 쓰지 못하게 하는 규제에 가깝습니다.
    제가 그 마크업을 배우는 데 들어가는 시간에 비해 앞으로의 활용성이 너무 떨어집니다. (그래서 안 배울 생각입니다.)

    2. 보안의 문제

    잘 몰랐는데, xml 쿼리 방식 덕분에 XE이 보안이 "철옹성"임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런데요, 대한민국 개발자의 절대다수에 속할 제 입장에서는, 현재 XE의 DB 통신 규약은 구더기 무서워 장 못 담그는 꼴입니다.

    모 콘텐츠 위젯의 /queries 폴더 목록입니다.

    getCategories.xml
    getDocument.xml
    getMids.xml
    getNewestCommentList.xml
    getNewestDocuments.xml
    getNotices.xml

    이게 비합리, 비효율, 반직관, 불편, 시대착오로 보이는 건 저뿐입니까? 진지하게 궁금합니다.

    보안이 중요하지 않다는 게 아닙니다.
    하지만 그 보안 지키느라 써야 할 열쇠가 너무 많아지면, 보안이 문제가 아니라 사람 출입이 끊기게 되는 겁니다.
    보안이 정 필요하면 암호화를 하든 접근 차단을 하든 다른 방식을 강구할 일이지, 쿼리 인젝션 막아보자고 DB에 뭐 물어볼 거 있을 때마다 기나긴 통행증을 작성해야 하는 이런 체계는... 무슨 전자정부 홈택스도 아니고 말이죠...

     

     

    3. 위젯

    서버가 컴파일하는 layout.html과는 또 다른 의미에서 이거 아주 골때리는 놈이더군요.

    결론부터 쓰자면, <img class="zbxe_widget_output" widget="myWidget" start="3" end="9"> 따위 어쭙잖은 유사 html 태그가 아니라 그냥 <?php myWidget(3,9); ?> 코드로 가야 합니다. 지금도 <img>태그라는 위젯 형태는 대관절 아무 존재 의미가 없으니까요.

    왜 존재의미가 없느냐? 간단합니다.
    쉽고 편한 기능을 만들어준다는 소스가 비직관적이고 자의적이기 짝이 없습니다.
    차라리 php 클래스나 함수를 다루는 코드라면 원리 공부를 하든 소스를 뜯어고쳐서 써먹든 하기라도 하지.

    초보자를 위한 XE 강좌 목록에 빠지지 않고 나오는 게 '위젯 코드 생성하기'입니다.
    모두 초보자 입장에서 엄청나게 허탈한 결론으로 끝납니다. "생성된 img 태그를 모두 복사해 붙여넣으세요."
    어떤 기분이냐면, 과자 공장 견학 가서 과자 굽는 기계 속을 못 보고 나오는 기분입니다.
    어떤 마법이 있어서 이 꼬부랑 외국어를 위젯으로 샤라락 변신시켜 주는 것일 뿐이라면, 이런 코드 체계는 없는 게 낫습니다.
    그 마법을 할 줄 아는 사람들은 더더욱 전업 전문가로만 나서게 되고, 그 마법을 간파하지 못한 사람들은 점점 일반 의뢰자로만 전락할 뿐이기 때문이죠.

    과자 굽는 기계 뭐 별거 있겠습니까? 초대형 오븐이겠지요. 가정용 오븐을 사면 집에서 간단한 쿠키 정도는 누구나 구울 수 있게 됩니다. 하지만 이런 식으로 과자 굽는 기계 자체를 자의적이고 신비하고 난해한 것으로 만들어 놓으니, 가정용 오븐을 사거나 만들거나 할 일이 영 없어지는 게 지금 XE 마켓 상황이고 위젯 개발 업계라고 생각됩니다. 묻고 싶습니다. 이게 XE 개발 생태계 확장에 도움이 되는 거냐고요.

    뭐, 공장을 건설할 재력과 지력이 있는 사람들에게는 도움이 될 겁니다. 과자 굽는 기계 제작을 자연 독점하게 될 테니까요.

    모든 프로젝트가 기트헙에 올린다고 소셜 코딩이 되는 건 아닙니다.
    애당초 이렇게 꽉 막힌 체계에서 제가 뭘 더 개선할 게 있다고 브랜치 풀 리퀘스트를 넣겠습니까?
    앞으로도 이런 식일 거라면 XE의 소셜코딩은 그저 꿈이기만 할 겁니다.

     

     

    4. 내부 설계 및 개발자 편의

    이쯤 되니 화가 나더군요.
    DB 테이블이든 내장함수든 그냥 내가 처음부터 다 뜯어보고 하나부터 열까지 새로 쓰는 게 낫겠다 싶어졌습니다.
    그리고 XE는 심지어 그렇게도 못 하는 상황입니다.

    1. 가끔 보이는 황당한 내부 코드

    document 모듈 아래 document.item.php 에 이런 함수가 정의돼 있습니다.

    function getRegdateTime() {
      $regdate = $this->get('regdate');
      $year = substr($regdate,0,4);
      $month = substr($regdate,4,2);
      $day = substr($regdate,6,2);
      $hour = substr($regdate,8,2);
      $min = substr($regdate,10,2);
      $sec = substr($regdate,12,2);
      return mktime($hour,$min,$sec,$month,$day,$year);
    }

    이렇게 용감하게 전제조건을 많이 깔고 있는 공식 배포 코드는 처음 봅니다. $regdate는 14자리 숫자로 이루어진 string이며, 그것은 항상 첫 네 숫자가 년도를, 다음 두 숫자가 월을, 다음 두 숫자가 일을... 마지막 두 숫자가 초를 지시하리라는 굳건한 믿음이 없으면, 저 같은 사람이라도, 이런 걸 작성할 배짱은 없을 듯합니다.

    그래서 DB는 굉장히 체계적인가 보다, 하고 들어가서 보니 xe_layout 테이블에 이런 게 보입니다.

    `extra_vars`, `text`, `O:8:"stdClass":4:{ s:3:"GNB";i:64;s:11:"LAYOUT_TYPE";s:9:"MAIN_PAGE"; s:10:"VISUAL_USE";s:3:"YES"; s:14:"menu_name_list";a:1:{i:64;s:12:"Welcome menu";}}`

    음... 그러니까 지금 이건 레이아웃 설정값 일체를 object 하나로 묶어서 string 처리해 넣어놓은 것인데...
    혹시 게시물 하나하나마다 태그도 이런 식으로 배열 내지 객체로 달아놓는 걸까 그래서 전체검색이 어려운 걸까 하고 찾아보니...

    제목 없음.png

    ...이쯤 되면 xe_ 붙은 모든 DB 테이블에 대한 의심이 막 생기는 겁니다. 어느 테이블 어느 열을 뒤져야 내가 원하는 게 있을까가 오리무중인 것입니다...

    2. 몹시 미비한 documentation

    그러지 말고 차분하게 뭐라도 배워 보자, 하고 여기 포럼의 Learn, 개발자 가이드, API 모두 눌러 봤습니다.
    개발자 가이드 쪽에 pdf 링크가 있길래 덥석 눌렀습니다. 35페이지에 이런 안내가 있습니다.

    위젯은 관리자가 수동으로 페이지 모듈에 입력하고 <img/> 요소에 저장합니다. 출력할 웹 페이지를
    호출할 때 widgetController::triggerWidgetCompile() 트리거가 widgetproc()를 사용해서 <img/> 요소의
    코드를 실행하고 올바른 HTML 코드로 변환합니다.

    ...제가 궁금한 건 "밀가루와 초코칩이 과자 굽는 기계로 들어가면 전력을 동력과 화력으로 바꿈으로 인해 제품이 생산됩니다." 같은 게 아닙니다.
    어떻게 밀가루와 초코칩을 섞어서 어떤 온도로 뭘 하면 그게 "구워지는" 건지 그 과정을 좀 설명해 달라는 것이지요.
    전문가 분들께는 우스워 보일지 모르지만 저 같은 초보자들에게는 절실한 문제입니다.
    어디 있는지도 모르겠는 widgetproc() 함수 따위 아무래도 좋단 말이다 그러니...!

    아니지 잠깐만, API 메뉴를 보니 XE 내장함수나 설계에 관해서 굉장히 자세하게 documentation을 해놨던 모양이던데 그걸 읽어볼까?
    하고 검색을 해봅니다. 이런 곳에서 함수명을 검색하면 당연히 함수 관련 정보가 뜨리라고 기대합니다. codex이길 기대하는 것이지요.

    제목 없음.png

    음... 제가 너무 많은 것을 기대한 걸까요...

    그리고 다시 돌아와서 Learn을 들어가 보면, 여전히 혼자 진도를 무섭게 나가고 기말고사를 보자는 노교수의 수업을 듣는 1학년 학부생의 기분이 됩니다.
    기초를 알아야 겨우 그 진가를 조금 알 수 있는 수업을, 기초만 빼놓고 듣고 있는 기분 말이죠.

    네, 이리하여 저는 XE와의 씨름에서 장렬하게 패했습니다.

     

     

     

    5. 결론

    저는 워드프레스 예찬론자가 아닙니다.
    사실 php라는 언어 자체를 마지못해 하는 편입니다. 할 수만 있다면 당장이라도 node.js가 굴러가는 헤로쿠나 AWS로 탈출하고 싶은 심정입니다. (배워 보니, 특히 parse.com처럼 여러 API를 차분하게 잘 만들어 놓은 baas의 경우에는 정말 거의 노력이 필요가 없더군요. 이해가 필요할 뿐이지. 그리고 그 이해의 방편도 여기저기 준비가 돼 있었고요.)

    XE는, 그 언어가, DB 설계가, 개발 철학이 전혀 '아니올시다'였습니다.
    가뜩이나 미래 없는 php의 앞날을 더욱 어둡게 만들고 있다는 생각이 드는 것입니다.

    처음에는 길길이 날뛰며 화를 내려고 했습니다. 그래도 국내 최고 최초의 CMS라는데 믿고 써 봐야지 싶어서 그 긴 시간 노력 투자한 결과가 결국 원점이니까요.
    일은 일대로 마감이 닥치고 있고 저는 반쯤 미쳐서 이런 장문의 뻘글을 쌔우고 있고...
    근데 이제는 별로 화는 나지 않습니다. 그냥 제가 현재까지의 XE를 오해하고 있었습니다.

    XE는 콘텐츠 매니징 솔루션이 아니고 그냥 BBS입니다.
    그렇게 이해하니 속이 편하더군요.

    일단 설계 자체가 단위콘텐츠 개념이 아니라 글 개념이더군요.
    그러니 이를테면 여러 게시판에 퍼져 있는 글들을 하나의 태그, 작성자 따위로 모아볼 필요가 없지요.
    게시판은 다 용도가 있고, 거기서 회원들이 용도에 맞게 잘 활동하면 포인트(←XE를 선택했던 결정적 이유 1) 올려서 높은 레벨의 회원(←XE를 선택했던 결정적 이유 2)으로 만들어주면 될 뿐이니까요.
    그러다가 가끔 뭐 팔아야 할 일이 생기면 "프리미엄" 게시판 하나 만들어서 결제(←XE를 선택했던 결정적 이유 3) 받고 장사하면 되니까요.
    그래요, XE를 가장 잘 활용하고 있는 일간베스트닷컴이 그렇게 하듯이 말입니다.

    사용자는 오직 글과 코멘트를 읽고 쓸 뿐이고,
    그 글들은 오직 게시판의 형태로만 활용되며,
    관리자는 오직 그들의 게시판 활동만을 지원하는
    그런 로직의 웹 서비스가 필요하다면,
    XE를 따라올 CMS는 없습니다.
    하지만 그 이상 아주 약간 다른 '일관된 키-값 쌍을 가지는 데이터들'을 다루는 CMS이기만 해도,
    XE는 속수무책인 것 같습니다.

    정말 꼭 필요한 기능과 DB테이블만 마련해서 독립 MVC로 만드는 게 가장 올바르고 적절한 방식이지만 그렇게 할 수 없을 때,
    워드프레스는 그나마 도움이 되고,
    XE는 제게 실망만을 안겨 주었습니다.

    글 개념에서 약간만 벗어나더라도,
    XE는 굉장히 많은 코딩과 규칙 준수를 요구합니다.
    그러다 보니,
    그런 건 네이버 지식인에 치면 나오는 정보가 아니게 되고(스택오버플로는 말할 것도 없지요),
    재능마켓에서 쉽게 거래되는 능력도 아니게 되며,
    유감스럽게도,
    XpressEngine 서포트 메뉴, 바로 여기서만 유통되는
    우물 안 개구리 실력이 되고 말았습니다.

    적어도 제게는 그렇게 보입니다.

    다시 일하러 가겠습니다.
    가는 마당에 훈계조가 너무 길었습니다.
    하지만 훈계는 아닙니다. 제가 무슨 주제라고 훈계를 합니까.
    그냥 전 이런 이유로 XE를 그만둔다고 어딘가에 적어 두고 싶었습니다.
    저 같은 사람이 적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므로.

     

    PS.

    11월에 XE3을 발표하는 컨퍼런스가 있는 모양이군요.
    그런데 만약 그때도 여전히 XE템플릿 언어가 건재하고, XML 쿼리가 포기되지 않은 그대로라면,
    그걸 본 제가 그 귀한 자리에서 어떤 깽판을 칠지는 저도 잘 모르겠으니,
    전 그냥 안 가겠습니다.

    0. 서론 안녕하세요. 최근에 뉴비로 들어와서 제작의뢰 게시판이나 문의게시판에 뻘글 올리던 사람입니다. 결론부터 쓰자면, 이제, 아마도 평생, 적어도 한동안은 XE 안 쳐다볼 것 같습니다. XE였으면 몇십만원 들여 개발자 구해 실현했어야 할 뷰들이 WP에서는 테마 한 개 사서 혼자 5시간 작업하니까 얼추 나오는 걸 보고 화도 안 나고 그냥 허탈합니다. 그래서 하소연이라도 ... 더보기
  • 이미지
    2015-09-09
    글본문

    네이버 애널리틱스 mysql 과 부하
    https://www.xpressengine.com/index.php?mid=forum&search_target=title_content&search_keyword=%EC%86%8D%EB%8F%84&document_srl=23048919
    > 전문적인것은 모르겠지만 네이버 아날리스틱 쓰면 사이트가 많이 느려지는것 같더군요

    XE성능 100배 올리는 패치
    https://www.xpressengine.com/index.php?mid=forum&search_target=title_content&search_keyword=%EC%86%8D%EB%8F%84&document_srl=23040664

    apc / mecached/ xcache 다설치해보고 해봤는데 apc가 가장빠르던데요

    https://www.xpressengine.com/index.php?mid=forum&search_target=title_content&search_keyword=%EC%86%8D%EB%8F%84&page=2&document_srl=23001181

    XE 속도개선 절실히..

    https://www.xpressengine.com/index.php?mid=forum&search_target=title_content&search_keyword=%EC%86%8D%EB%8F%84&page=2&document_srl=22971911

    네이버 애널리틱스 mysql 과 부하 https://www.xpressengine.com/index.php?mid=forum&search_target=title_content&search_keyword=%EC%86%8D%EB%8F%84&document_srl=23048919 > 전문적인것은 모르겠지만 네이버 아날리스틱 쓰면 사이트가 많이 느려지는것 같더군요 XE성능 100배 올리는 패치 https://www.xpressengine.com/index.php?mid=forum&search_target=title_content&s... 더보기
  • 이미지
    2015-09-08
    글본문

    왕초보를 위한 (제로보드XE)홈페이지 뚝딱 5 - 레이아웃 생성, 페이지 생성

     

    대단히 죄송하게도 제가 잘못 알고 있었던 부분이 있습니다.

    1. 외부페이지 생성은 안하셔도 됩니다.

    2. 첫 페이지 열리는 형태는

      인터넷브라우저 -> index.htm -> index.php -> 시작모듈

    3. 시작모듈의 세팅은 관리자페이지 맨 오른쪽 맨 위에 'setting'에서 합니다. 그러나 초기 설치후에 변경하지 마시고 시작모듈이 무엇인지만 파악하시면 됩니다. 대부분 관리자페이지 '페이지'항목에 가시면 기본적으로 시작모듈에 해당하는 '페이지'가 생성되어 있습니다. 그게 홈페이지 첫 화면입니다.

     

    레이아웃 생성

     

    1.XE홈페이지-레이아웃스킨을 다운 받은 후 압축을 풀고

    파일질라를 통해 www-xe-layouts 폴더 안에 넣는다. (나는  cimple_plus를 넣었다.)

     

    2.관리자페이지-사이트설정-레이아웃에 들어가서 '생성'버튼 누른다.

    3.레이아웃이름 - 다운 받아 서버에 올린 레이아웃이 보일 것이다. 선택!

    4.제목 : 홈페이지 레이아웃 이라고 쓴다. 다음!

    5.레이아웃 설정화면이 나온다. 대부분의 개발자들이 설정항목을 쉽게 만들어 놓는 편이다. 고급 설정을 하려면 레이아웃편집을 해야 하는데 이것은 html 문서를 공부한 다음에..ㅠㅠ

    6. 등록! 하면 여기저기서 쓸 수 있는 레이아웃이 만들어 진 것이다.

     

    * 만약, 메인페이지와 서브페이지의 형태가 다르다면 (대부분 메인페이지는 위에 메뉴가 있고 서브페이지는 위에도 메뉴가 있고 좌측에도 메뉴가 있다. 이런 경우엔 레이아웃을 하나 더 만든다. 이름은 '서브레이아웃' 정도... 레이아웃 스킨은 같은 것을 쓰는 것이 원칙!

     

    페이지생성

     

    1. 관리자페이지-서비스관리-페이지에 들어가서 '생성' 버튼을 누른다.

    2. 모듈이름 : home

    3. 브라우저제목 : 인터넷창을 열면 맨 위 파란색 바(bar)에 나타나는 글씨들이니 쓰고 싶은 문구 적으면 된다.

    4. 레이아웃 : 아까 만들어 놓은 레이아웃 목록이 보일 것이다. (나는 cimple_plus) 선택!

    5. 등록

     

    6. 다시 '생성'

    7. 모듈이름 : sub

    8. 브라우저제목 : 아까 home 만들 때 썼던 내용 그대로..

    9. 레이아웃 : 서브레이아웃 선택

    10. 등록

     

     



     

     

    게시판 레이아웃 변경

     

    처음 게시판을 생성할 때 레이아웃스킨이 없어서 기본을 선택했었는데 이제 다운받은 레이아웃스킨을 설치했으니 다시 게시판으로 가서 게시판 목록을 펼친 다음...

     

    전체선택하고

    왼쪽 맨 밑에 '설정'을 누르고

    레이아웃은 '서브레이아웃' * 메인페이지 레이아웃과 서브페이지 레이아웃을 같은 형태로 제공하는 레이아웃 스킨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별도로 세팅할 필요없이 모든 페이지나 게시판을 해당 레이아웃으로 설정하세요.

    게시판 스킨은 원하는 스킨 선택!!!

     

    오늘 여기까지~~~~~~

     

    왕초보를 위한 (제로보드XE)홈페이지 뚝딱 5 - 레이아웃 생성, 페이지 생성 대단히 죄송하게도 제가 잘못 알고 있었던 부분이 있습니다. 1. 외부페이지 생성은 안하셔도 됩니다. 2. 첫 페이지 열리는 형태는 인터넷브라우저 -> index.htm -> index.php -> 시작모듈 3. 시작모듈의 세팅은 관리자페이지 맨 오른쪽 맨 위에 'setting'에서 합니다. 그러나 초기 설치후에 변경하지 ... 더보기
  • 이미지
    2015-09-08
    글본문

    왕초보를 위한 (제로보드XE)홈페이지 뚝딱 32 - XE 설치 

     

    제로보드는 기본적으로 게시판을 운영하기 위해 만들어진 시스템인데 최초개발자가 처음부터 모든 것을 공개하고 무료로 배포하여 여러 훌륭하신 유저들이 추가로 개발하고 보완하고 발전시켜 지금에 이르렀다. 정말 박수칠 일이다.

     

    제로보드4 를 사용할 때에는 기본적으로 홈페이지 레이아웃을 작성하고 제로보드4 게시판을 넣는 형식이었지만.......

     

    제로보도XE를 사용하는 지금은 XE툴만 가지고도 레이아웃부터 모든 것을 끼워맞춰 홈페이지를 만들 수 있다. (사실 나도 첨엔 접근하기 두려웠으나 기존 작업형태는 만들기도 그렇거니와 고치려면 이것저것 손볼게 너무 많은데 XE는 레이아웃이 한번 정해지면 부품을 하나 갈아 넣어도 전체 레이아웃에 같은 요소가 변경되는 형태로 매우 혁신적이다. 한 페이지 한 페이지 일일이 수정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그러니 좀 중도에 어려움이 닥쳐도 부디 끝까지 만들기를 바라는 바이다.)

     

    설치 (웬만하면 사이트에서 XE 메뉴얼을 다운받아 프린트할 것)

     

    XE를 설치하기 전에 먼저 AMPsetup을 설치한다. 인터넷에 검색해서 다운받아 설치하면 된다. XE를 제대로 구동하기 위해 꼭 필요한 것이라는데 나도 잘 모르지만 일단 설치했다.

     

    1.XE사이트인 www.xpressengine.com 사이트에서 XE core 최신버전을 다운 받는다. 한번 받으면 수시로 업데이트가 가능하니 현재 올라와 있는 프로그램을 다운 받으면 된다.

     

    2. 파일 압축을 해제하고 파일질라(FTP)를 통해 서버에 전송한다. 대부분 자신의 서버에는 www 란 폴더가 보일 것이다. 그 안에 xe 폴더를 통째로 전송하면 된다. (마우스 좌클릭-드래그)

     ***이 때, 원래 서버에 있던 index.htm 파일은 삭제하고 첨부파일로 올려놓은 index.htm 파일을 다운받아서 내용을 본인 도메인에 맞에 고친후 index.htm 파일을 꼭 전송한다. 특히 중간부분에 src="/xe/index.php" 이 부분의 경로를 잘 확인할 것. 

    ***처음 인터넷에서 자신의 홈페이지를 연결하면 이 index.htm 파일이 xe내에 있는 index.php를 부르고 이 파일이 다시 나중에 관리자페이지에 만든 홈페이지의 메인페이지인 xe/home을 불러내서 컴퓨터화면에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니 매우 중요한 파일이다.

     

    3. 전송이 끝났으면, 인터넷창을 하나 열고 주소창에  www.gimpoart.netwww.gimpoart.net/xe 를 써놓고 엔터, 자신이 구매한 도메인에 접속을 한다.

     

    4. 그럼, 바로 XE 설치화면이 나온다.

     

    5. 한국어 선택, 라이선스 동의

     

    6.DBMS와 사이트 관리자 정보, 환경 설정 입력후 등록

       호스팅업체 사이트에 가서 MySql 정보를 보고

       가.DB호스트 : localhost

       나.DB포트 : 3306

       다.DB아이디 : 아이디

       라.DB비밀번호 : 비밀번호

       마.DB데이터베이스 : 아이디

       바.테이블머리말 : XE

       넣고 관리자정보는 임의로 작성 후...........등록^^

     

    7.관리자 초기화면이 나오면 설치 완료 된 것입니다.

     

    오늘 여기까지...

     

    왕초보를 위한 (제로보드XE)홈페이지 뚝딱 32 - XE 설치 제로보드는 기본적으로 게시판을 운영하기 위해 만들어진 시스템인데 최초개발자가 처음부터 모든 것을 공개하고 무료로 배포하여 여러 훌륭하신 유저들이 추가로 개발하고 보완하고 발전시켜 지금에 이르렀다. 정말 박수칠 일이다. 제로보드4 를 사용할 때에는 기본적으로 홈페이지 레이아웃을 작성하고 제로보드4 게시... 더보기
  • 이미지
    2015-09-06
    글본문

    가장 좋은 방법은, 만들어진 위젯 보고 뜯어고쳐보기입니다. :)

    XE 위젯 개발하기 (XE SCHOOL)
    http://www.xeschool.com/xe/widgets_story

    XE 함수사전
    https://www.xetown.com/index.php?mid=garage&category=5991

    http://web.geusgod.pe.kr:8081/xe/4957

    확장변수 출력(extra_vars) 위젯 만들기
    http://www.xeschool.com/xe/widgets_creating_extra_vars_widget

    [기초] XE구조의 비밀 그 아홉번째 - 위젯코드의 변신
    http://www.conory.com/note_develop_web/15879

    위젯 클래스 개발
    https://github.com/xpressengine/xe-tutorial/tree/master/Example/Widget/02_develop_widget_class

    https://github.com/xpressengine/xe-tutorial/tree/master/Example/Widget

     

    가장 좋은 방법은, 만들어진 위젯 보고 뜯어고쳐보기입니다. :) XE 위젯 개발하기 (XE SCHOOL) http://www.xeschool.com/xe/widgets_story XE 함수사전 https://www.xetown.com/index.php?mid=garage&category=5991 http://web.geusgod.pe.kr:8081/xe/4957 확장변수 출력(extra_vars) 위젯 만들기 http://www.xeschool.com/xe/widgets_creating_extra_vars_widget [기초] XE구조... 더보기
  • 이미지
    2015-09-05
    글본문

    1. 누리고 쇼핑몰 모듈

    공식사이트 : http://www.xeshoppingmall.com/notice/154155
    XE자료실다운로드 : https://www.xpressengine.com/download?act=&mid=download&vid=&category=&keyword=%EB%88%84%EB%A6%AC%EA%B3%A0
    깃헙 : https://github.com/nurigo?tab=repositories
    매뉴얼 : https://github.com/nurigo/manual/wiki
    사용자포럼 : http://www.xeshoppingmall.com/forum

    vomvoru님 의견 : 
    누리고에 버그가 몇개 있는데 지금은 관리가 안되고 있는것같습니다.
    예전에 누리고 사용하면서 버그 고친 소스입니다.(nstore와 ncart모듈)
    사용하시려면 소스 분석해서 몇가지 더 수정이 필요할수 있어요.

    https://github.com/qkrcjfgus33/xe-module-nstore/tree/9173eaf7c69f1afe37df86f4382f5275e55ad9bc
    https://github.com/Vomvoru/xe-module-ncart/tree/98adf24882086f131cfb0d60ae2c64dd327b510e

    2. 기능 건의

    상품관리모듈(nproduct)

    https://github.com/nurigo/xe-module-nproduct/issues

    1. 자체 글 수정 버튼 삽입하기
    https://github.com/nurigo/xe-module-nproduct/issues/4
    2. 상품관리모듈간 글 이동하기 기능 추가하기
    https://github.com/nurigo/xe-module-nproduct/issues/3
    3. 연관상품 출력하기 : 의존성자료 또는 태그로 묶인 상품을 같이 보여주는 기능
    https://github.com/nurigo/xe-module-nproduct/issues/5

    장바구니 모듈(ncart)

    https://github.com/nurigo/xe-module-ncart

    1. 마일리지 사용안함 기능 추가
    마일리지 모듈에서 사용안함으로 설정해도 장바구니에서는 그대로 노출되는 문제.
    마일리지 모듈에서 사용안함으로 설정시 장바구니 모듈에서는 자동적으로 마일리지 관련 항목이 노출되지 않거나
    장바구니 모듈에서 따로 사용/사용안함 설정 항목이 존재했으면 함.

    2. % 혹은 포인트 사용
    마일리지를 항상 %로만 가능한데, 건당 구매시 몇 포인트. 이런 식으로도 줄 수 있으니깐, % 말고 포인트를 이용시 몇 포인트 주기 이런 식으로도 설정 가능했으면 좋겠음.

    마일리지
    https://github.com/nurigo/xe-module-nmileage

    1. 미사용 설정 & 마일리지 처리방식 : xe 포인트 모듈 설정시 > 마일리지 처리가 되서 결제가 되는 문제

    3. 설치 모듈

    구매안내 Automail 모듈 (필수아님)
    관리자 > 콘텐츠몰 > 판매관리 > 메일설정에서 설정할 수 있는 모듈

    https://www.xpressengine.com/index.php?mid=download&package_id=22617898

     

     

    1. 누리고 쇼핑몰 모듈 공식사이트 : http://www.xeshoppingmall.com/notice/154155 XE자료실다운로드 : https://www.xpressengine.com/download?act=&mid=download&vid=&category=&keyword=%EB%88%84%EB%A6%AC%EA%B3%A0 깃헙 : https://github.com/nurigo?tab=repositories 매뉴얼 : https://github.com/nurigo/manual/wiki 사용자포럼 : http://www.xeshoppingmall.com/forum ... 더보기
  • 이미지
    2015-08-29
    글본문

    1. 상품 다운로드

    1.1. 누리고 : http://www.xpressengine.com/index.php?mid=download&package_srl=22597112 (※아래 함께 설치해야하는 모듈은 꼭 모두 다 설치해주세요.)
    1.2. 마일리지 : 
    1.2. 쇼핑몰 결제 알림 : http://www.xpressengine.com/index.php?mid=download&package_id=22597227
    1.3. 쇼핑몰결제모듈 : https://www.xpressengine.com/index.php?mid=download&package_id=22594556
    1.4. 무통장입금 결제모듈 : https://www.xpressengine.com/index.php?mid=download&package_id=22753351
    1.5. 페이팔 결제 모듈 : 
    1.6. 이니시스 모바일 결제 모듈 : 

    2. 설정

    2.1. 누리고 페이팔 설정 도움말
    http://www.xeshoppingmall.com/Common_Payment_Paypal

    2.2. 누리고 사용자포럼
    http://www.xeshoppingmall.com/index.php?mid=forum&page=1

    2.3. 페이팔 도움말 - api를 설정하고 사용하려면 어떻게 해야합니까
    https://www.paypal.com/kr/webapps/helpcenter/helphub/article/?articleID=FAQ2766&m=SRE&url=https%253A%252F%252Fokminternal.paypal.com%252Finfocenter%252Findex%253Fpage%253Dcontent%2526id%253DFAQ2766%2526actp%253Dsearch%2526viewlocale%253Dko_KR&answerId=16777216&searchId=1440790374492&rankId=1

    2.4. 페이팔 개발자센터
    https://developer.paypal.com/webapps/developer/docs/classic/

    2.5. 페이팔 api 설정 페이지
    https://developer.paypal.com/developer/applications/edit/QVVabnUxRVp1a1hHdzJLR3JEaVVaVE5mbDJqRjlpYTRJZmdLZzBDMFFNc01fd1NZcnNsU1BRdXNEMUJDYlM3MGhHdURLb1J2U2lPTGhzQ1A=

    2.6. 은행코드
    농협중앙회 : 11
    지역농협 : 12

    2.7. 참조
    페이팔 계좌등록 - 지역농협 계좌
    http://blog.naver.com/govoh/220181659309

    2.8. 사용자 오류
    ncart.view.php

    3. 알려진 버그

    3.1. 구매 후 그룹 부여하는 기능 작동하지 않음.

    3.2. vomvoru님 수정한 버전

    누리고에 버그가 몇개 있는데 지금은 관리가 안되고 있는것같습니다. 예전에 누리고 사용하면서 버그 고친 소스입니다.(nstore와 ncart모듈)
    배송비가 view에 적용안되는거랑 비회원 주문/배송 조회시 오류 등 저는 실제 상품 파는거랑, 이니시스 (pg서비스) 연결. 비회원만 구매. 그륩기능 사용안함 등으로 이용했어요.
    기능이 조금 몇가지 부족하고, 버그가 꽤나 있어서 소스분석한뒤에 사용하시거나 새로 개발하시는게 나으실꺼에요.

    https://github.com/qkrcjfgus33/xe-module-nstore/tree/9173eaf7c69f1afe37df86f4382f5275e55ad9bc
    https://github.com/Vomvoru/xe-module-ncart/tree/98adf24882086f131cfb0d60ae2c64dd327b510e

     

     

    1. 상품 다운로드 1.1. 누리고 : http://www.xpressengine.com/index.php?mid=download&package_srl=22597112 (※아래 함께 설치해야하는 모듈은 꼭 모두 다 설치해주세요.) 1.2. 마일리지 : 1.2. 쇼핑몰 결제 알림 : http://www.xpressengine.com/index.php?mid=download&package_id=22597227 1.3. 쇼핑몰결제모듈 : https://www.xpressengine.com/index.php?mid=download&packa... 더보기
  • 이미지
    2015-08-24
    글본문

    http://www.conory.com/note_develop_web/15879

    http://tuwlab.com/9169

    http://www.koabbey.com/dt_xe/

    http://www.2sisstore.com/index.php?mid=xe01_05

    https://www.xpressengine.com/tip/20901998

    http://xdomplus.com/xd_tip

    http://web.geusgod.pe.kr:8081/index.php?mid=xe&category=4576&document_srl=9757

    http://study4you.kr/xe/homepage/17026

    http://web.geusgod.pe.kr:8081/26584

    사용자강의

    http://www.cmsfactory.net/node/20050


    http://www.withhong.com/xe/index.php?category=179734&mid=software&sort_index=title&order_type=desc&document_srl=189521

    http://ssagajikr.tistory.com/entry/%EC%95%A0%EB%93%9C%EC%98%A8%EC%9D%B4%EB%AF%B8%EC%A7%80-%EC%9E%90%EB%8F%99%EC%82%BD%EC%9E%85-%EC%9E%90%EB%8F%99%EC%B6%9C%EB%A0%A5-ver-056

    http://yungosan.hosting.bizfree.kr/zbxe/index.php?document_srl=20957&mid=xe1_2

    http://moonhouse.co.kr/xe/280169

     

     

    http://www.conory.com/note_develop_web/15879 http://tuwlab.com/9169 http://www.koabbey.com/dt_xe/ http://www.2sisstore.com/index.php?mid=xe01_05 https://www.xpressengine.com/tip/20901998 http://xdomplus.com/xd_tip http://web.geusgod.pe.kr:8081/index.php?mid=xe&category=4576&document_srl=9757 http://study4you.kr/xe/homepage/17026 http://web.geusgod.p... 더보기
  • 이미지
    2015-08-19
    글본문

    https://www.xpressengine.com/index.php?mid=download&package_id=18982195

    구글 애드센스를 게시판 본문에 삽입할 때 유용한 애드온입니다.


    알려진 문제점

    https://www.xpressengine.com/index.php?mid=qna&search_target=title_content&search_keyword=%EB%B3%B8%EB%AC%B8+%EC%95%A0%EB%93%9C%EC%84%BC%EC%8A%A4&document_srl=22018229


    그 외

    - 플래닛도 게시물이라 플래닛에서도 이 애드온이 적용된다는 게 문제...



    비슷한 애드온


    페이지/게시판 본문내 글자 확대/축소 버튼 애드온 ver. 0.1

    https://www.xpressengine.com/index.php?mid=download&package_id=19574799

    https://www.xpressengine.com/index.php?mid=download&package_id=18982195 구글 애드센스를 게시판 본문에 삽입할 때 유용한 애드온입니다. 알려진 문제점 https://www.xpressengine.com/index.php?mid=qna&search_target=title_content&search_keyword=%EB%B3%B8%EB%AC%B8+%EC%95%A0%EB%93%9C%EC%84%BC%EC%8A%A4&document_srl=22018229 그 외 - 플래닛도 게시물이라 플래닛에... 더보기
  • 이미지
    2015-08-19
    글본문

    XE 프로그램 중 사이트 접속 통계 및 분석 도구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
    기본적으로 통계 관련 프로그램은 모듈과 애드온이 세트입니다.

    1. 통계 / 아마도개발소 (2015)
    사이트 통계를 확인하기 위한 통계 모듈입니다. 사이트에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들어오는지, 어떻게 어떤 방식으로 들어 오는지 또 어떤 컨텐츠가 인기 있는지 등 사이트 내 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다양한 활동(기록)들을 한 눈에 쉽고 다양하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모듈과 애드온을 함께 설치해야 합니다. 모듈과 애드온을 함께 설치해야 합니다. 통계 모듈을 사용하기 위해 필수로 설치 해야하는 애드온입니다. 애드온은 단독으로 사용되지 않으니 설치할 때 주의 바랍니다. 
    - 모듈 : https://www.xpressengine.com/index.php?mid=download&package_id=22753540
    - 애드온 : https://www.xpressengine.com/index.php?mid=download&package_id=22753550

    2. NAVER Analytics /XE (2015)
    NAVER Analytics Open API를 활용하여 사이트의 방문자/검색경로/페이지등의 통계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클라이언트 모듈입니다.
    - 모듈 : https://www.xpressengine.com/index.php?mid=download&package_id=19130198

    3. 리퍼러 통계 / 큰돌♡ (2015)
    XE로 만들어진 모듈에 접속하는 경로 정보를 수집, 분석하는 모듈입니다. 리퍼러 통계 애드온을 함께 사용해야 합니다.
    리퍼러 모듈에서 접속 경로를 저장하기 위해 필요한 애드온입니다. 애드온이 켜 있어야 모듈에서 접속 경로를 수집하게 됩니다.
    - 모듈 : https://www.xpressengine.com/index.php?mid=download&package_id=20673970
    - 애드온 : https://www.xpressengine.com/index.php?mid=download&package_id=20673999

    4. AnalysisXE / 제디슨 (2011)
    리퍼러와 리퀘스트를 분석하기 위한 모듈입니다.
    - 모듈 : https://www.xpressengine.com/index.php?mid=download&package_id=19497436
    - 애드온 : https://www.xpressengine.com/index.php?mid=download&package_id=19503269

    5. 접속 통계 / mooo (2009)
    홈페이지에 접속하는 사람들의 기본적인 동작들을 기록할 수 있고, 통계낼 수 있습니다. 수집하는 정보는 접속한 시각, IP 주소, 브라우저 정보, 접속한 페이지 정보, 리퍼러 정보, 검색어 정보 등입니다.
    이렇게 수집된 정보들은 각 필요에 따라 분류되며, 이렇게 분류된 통계 정보는 접속 카운트 통계, 방문자 통계, 브라우저 통계, 리퍼러 통계, 검색어 통계, 페이지 통계, 블럭 통계 등을 통해 볼 수 있습니다.
    접속 통계 모듈에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애드온입니다.
    - 모듈 : https://www.xpressengine.com/index.php?mid=download&package_id=18326030
    - 애드온 : https://www.xpressengine.com/index.php?mid=download&package_id=18326038

    6. Referer / XE (2009)
    XE로 만들어진 모듈에 접속하는 경로를 수집하는 모듈입니다.
    Referer 모듈에서 접속 경로를 저장하기 위해 필요한 애드온입니다. Referer 애드온이 켜 있어야 Referer 모듈에서 접속 경로를 수집하게 됩니다.
    - 모듈 : https://www.xpressengine.com/index.php?mid=download&package_id=18324189
    - 애드온 : https://www.xpressengine.com/index.php?mid=download&package_id=18324241

    XE 프로그램 중 사이트 접속 통계 및 분석 도구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 기본적으로 통계 관련 프로그램은 모듈과 애드온이 세트입니다. 1. 통계 / 아마도개발소 (2015) 사이트 통계를 확인하기 위한 통계 모듈입니다. 사이트에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들어오는지, 어떻게 어떤 방식으로 들어 오는지 또 어떤 컨텐츠가 인기 있는지 등 사이트 내 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다양한 활동... 더보기
  • 이미지
    2015-08-07
    글본문

    treasurej님의 '카메론의 XE기초강좌'가 아프리카TV를 통해서 생방송 됩니다.

    XE를 배우고 싶은 초보분들은 이 방송에서 많은 것을 배우실 수 있을 겁니다.


    방송대상 : XE 입문자, XE 기초활용을 배우고 싶으신 분

    방송시간 : (매 주) 월~목요일 저녁 11시부터 30분간(7월27일부터)

    방송주소 : http://afreeca.com/camerontv

    관련소식 : https://www.xpressengine.com/index.php?mid=forum&document_srl=23049391&comment_srl=23063718



    treasurej님의 '카메론의 XE기초강좌'가 아프리카TV를 통해서 생방송 됩니다.

    XE를 배우고 싶은 초보분들은 이 방송에서 많은 것을 배우실 수 있을 겁니다.

    방송대상 : XE 입문자, XE 기초활용을 배우고 싶으신 분

    방송시간 : (매 주) 월~목요일 저녁 11시부터 30분간(7월27일부터)

    방송주소 : http://afreeca.com/camerontv

    관련소식 : https://www.xpressengine.com/index.php?mid=forum&document_srl=23049391&comment_srl=23063718

  • 이미지
    2015-07-28
    글본문

    Smaker님의 전광판 모듈이 있었습니다.

    http://www.happyscience.org/index.php?document_srl=377917&mid=hpszbxe

    XE에서는 사라졌습니다.


    쿡래빗 숭숭군님의 한줄 광고 모듈입니다. 위젯도 자료실에 있습니다.

    https://www.xpressengine.com/index.php?mid=download&package_id=22466915

    Smaker님의 전광판 모듈이 있었습니다.

    http://www.happyscience.org/index.php?document_srl=377917&mid=hpszbxe

    XE에서는 사라졌습니다.

    쿡래빗 숭숭군님의 한줄 광고 모듈입니다. 위젯도 자료실에 있습니다.

    https://www.xpressengine.com/index.php?mid=download&package_id=22466915

  • 이미지
    2015-07-08
    글본문

    1. 업글타일 도메인 사용법

    처음 도메인으로 생성하면 mid는 자동으로 upgletyle 로 생성이 됩니다.

    그래서 blog.eond.com 으로 설정한 뒤

    .htaccess 에서 blog.eond.com 으로 접속하면 mid=blog 로 지정해서 접속이 안되었던 겁니다.


    RewriteCond $1 !^(blog)/
    RewriteCond %{HTTP_HOST} ^blog\.eond\.com [NC]
    RewriteRule ^(.blog)?$ ./index.php?mid=blog [L]


    2. 이미 사용한 업글타일 mid를 다시 사용하기

    이미 사용하고 있던 mid 명을 삭제한 후 다시 사용하려고 하면 이미 있는 mid 명이라고 사용을 못합니다.

    그러면 mysql 관리툴로 접속 한 뒤

    xe_sites 테이블에서 해당 mid를 삭제한 후 사용하시면 됩니다.

    1. 업글타일 도메인 사용법 처음 도메인으로 생성하면 mid는 자동으로 upgletyle 로 생성이 됩니다. 그래서 blog.eond.com 으로 설정한 뒤 .htaccess 에서 blog.eond.com 으로 접속하면 mid=blog 로 지정해서 접속이 안되었던 겁니다. RewriteCond $1 !^(blog)/ RewriteCond %{HTTP_HOST} ^blog\.eond\.com [NC] RewriteRule ^(.blog)?$ ./index.php?mid=blog [L] 2. 이미 사용...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