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소식이 있나요?
  • 이미지
    2017-07-17
    글본문

    누리고 쇼핑몰 모듈의 구성 모듈 중에 '상품주문알림(paynoty)'라는 모듈입니다.

    이 모듈에서는 주문을 받을 경우, 카카오톡의 친구톡, 문자메세지, 이메일 알림이 가능합니다.


    누리고 모듈 1.1.8부터 지원하는 친구톡이란?

    https://www.xetown.com/lakepark/649328

    기존의 coolsms 서비스를 이용하시면서 알림톡을 신청하여 알림톡 서비스를 사용하시는 분들을 대상으로 해당 옐로우 아이디로 친구톡을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기존에 계속 사용하셨던 알림톡전송방식은 정해진 내용에 따라 대입을 하여 규칙적인 메세지를 전송가능했다면 친구톡은 그러한 규칙없이 전송할 수 있다는것이 장점입니다.
    단, 친구톡의 경우 어떤내용도 그냥 발송이 되므로 전송에도 조건이 있습니다.

    전송조건

    1. 오후 8시 이후으로는 모든 친구톡 서비스가 전송되지 않음.
    2. 상대방이 카카오톡 사용자이여야할 것.
    3. 상대방이 해당 알림톡 등록한 옐로우 아이디를 친구추가 해야할 것.

    위 조건을 충족 해야합니다. 자세한 알림톡 서비스의 대해서 알고 싶으면 coolsms 을 이용해보시기 바랍니다.
    http://www.coolsms.co.kr/AboutAlimTalk 알림톡


    알림톡이란?

    https://www.coolsms.co.kr/index.php?mid=AboutAlimTalk


    누리고 쇼핑몰 모듈의 구성 모듈 중에 '상품주문알림(paynoty)'라는 모듈입니다. 이 모듈에서는 주문을 받을 경우, 카카오톡의 친구톡, 문자메세지, 이메일 알림이 가능합니다. 누리고 모듈 1.1.8부터 지원하는 친구톡이란?https://www.xetown.com/lakepark/649328 기존의 coolsms 서비스를 이용하시면서 알림톡을 신청하여 알림톡 서비스를 사용하시는 분들을 대상으로 해당 옐... 더보기
  • 이미지
    2017-07-06
    글본문

    이온디 로그인 레이아웃에 사용된 코드입니다.


    로그인페이지를 따로 만들 경우

    https://www.xetown.com/qna/36746

    회원정보 수정 후 특정 주소로 이동시키는 방법

    http://sejin7940.co.kr/index.php?mid=xe_tips&listStyle=webzine&page=13&document_srl=93549

    로그인 후 페이지 이동하는 소스 위치

    https://www.xpressengine.com/qna/22364405


    form 태그 아래에 

    <input type="hidden" name="success_return_url" value="{getUrl('','mid','이동할 게시판 mid')}">

    라고 적어주면 됩니다.

    이온디 로그인 레이아웃에 사용된 코드입니다. 로그인페이지를 따로 만들 경우 https://www.xetown.com/qna/36746 회원정보 수정 후 특정 주소로 이동시키는 방법 http://sejin7940.co.kr/index.php?mid=xe_tips&listStyle=webzine&page=13&document_srl=93549 로그인 후 페이지 이동하는 소스 위치 https://www.xpressengine.com/qna/22364405 form 태그 아래에 <input type="h... 더보기
  • 이미지
    2017-06-25
    글본문

    서브디렉토리에 XE를 설치했을 때 백지화면이 뜰 경우

    Nginx 서버에서 XE를 설치할 때 root(/)에 설치할 경우 엔진엑스 설정파일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xe/ 과 같이 서브디렉토리에 설치할 경우는 정상적으로 출력되지 않습니다.


    이 경우 링크를 참조하시거나 아래 설정을 참조하시면 됩니다.

    Nginx 서버에서 XE를 서브디렉토리(/xe/)에 설치한 경우 rewrite rule 설정 

    # block direct access to templates, XML schemas, config files, dotfiles, environment info, etc.
    location ~ ^/modules/editor/(skins|styles)/.+\.html$ {
    # pass
    }
    location ~ ^/common/manual/.+\.html$ {
    # pass
    }
    location ~ ^/(addons|common/tpl|files/ruleset|(m\.)?layouts|modules|plugins|themes|widgets|widgetstyles)/.+\.(html|xml)$ {
    return 403;
    }
    location ~ ^/files/(attach|config|cache/store)/.+\.php$ {
    return 403;
    }
    location ~ ^/files/env/ {
    return 403;
    }
    location ~ ^/(\.git|\.ht|\.travis|codeception\.|composer\.|Gruntfile\.js|package\.json|CONTRIBUTING|COPYRIGHT|LICENSE|README) {
    return 403;
    }
    
    # fix incorrect relative URLs (for legacy support)
    location ~ ^/(.+)/(addons|files|layouts|m\.layouts|modules|widgets|widgetstyles)/(.+) {
    try_files $uri $uri/ /$2/$3;
    }
    
    # fix incorrect minified URLs (for legacy support)
    location ~ ^/(.+)\.min\.(css|js)$ {
    try_files $uri $uri/ /$1.$2;
    }
    
    # rss, blogAPI
    rewrite ^/(rss|atom)$ /index.php?module=rss&act=$1 last;
    rewrite ^/([a-zA-Z0-9_]+)/(rss|atom|api)$ /index.php?mid=$1&act=$2 last;
    rewrite ^/([a-zA-Z0-9_]+)/([a-zA-Z0-9_]+)/(rss|atom|api)$ /index.php?vid=$1&mid=$2&act=$3 last;
    
    # trackback
    rewrite ^/([0-9]+)/(.+)/trackback$ /index.php?document_srl=$1&key=$2&act=trackback last;
    rewrite ^/([a-zA-Z0-9_]+)/([0-9]+)/(.+)/trackback$ /index.php?vid=$1&document_srl=$2&key=$3&act=trackback last;
    
    # administrator page
    rewrite ^/xe/admin/?$ /xe/index.php?module=admin last;
    rewrite ^/admin/?$ /index.php?module=admin last;
    
    # document category
    rewrite ^/([a-zA-Z0-9_]+)/category/([0-9]+)$ /index.php?mid=$1&category=$2 last;
    
    # document permanent link
    rewrite ^/([0-9]+)$ /index.php?document_srl=$1 last;
    
    # mid link
    rewrite ^/xe/?$ /xe/index.php?mid=$1 last;
    rewrite ^/xe/([a-zA-Z0-9_]+)/?$ /xe/index.php?mid=$1 last;
    rewrite ^/([a-zA-Z0-9_]+)/?$ /index.php?mid=$1 last;
    
    
    # mid + document link
    rewrite ^/([a-zA-Z0-9_]+)/([0-9]+)$ /index.php?mid=$1&document_srl=$2 last;
    
    # vid + mid link
    rewrite ^/([a-zA-Z0-9_]+)/([a-zA-Z0-9_]+)/?$ /index.php?vid=$1&mid=$2 last;
    
    # vid + mid + document link
    rewrite ^/([a-zA-Z0-9_]+)/([a-zA-Z0-9_]+)/([0-9]+)$ /index.php?vid=$1&mid=$2&document_srl=$3 last;
    
    # mid + entry title
    rewrite ^/([a-zA-Z0-9_]+)/entry/(.+)$ /index.php?mid=$1&entry=$2 last;
    
    # vid + mid + entry title
    rewrite ^/([a-zA-Z0-9_]+)/([a-zA-Z0-9_]+)/entry/(.+)$ /index.php?vid=$1&mid=$2&entry=$3 last;


    참조 

    ※ #태그는 모두 구글에서 추가로 검색해볼 것

    • #nginx 하위 디렉토리 index
    • #nginx 서브 디렉토리 index
    • #AWS 서버에 nginx 설정 후 403 forbidden 에러 대처하기 / 출처 : http://miconblog.com/archives/2014/11/aws-%EC%84%9C%EB%B2%84%EC%97%90-nginx-%EC%84%A4%EC%A0%95-%ED%9B%84-403-forbidden-%EC%97%90%EB%9F%AC-%EB%8C%80%EC%B2%98%ED%95%98%EA%B8%B0/
    • #NginX 주요 설정 (nginx.conf) / 출처 : http://sarc.io/index.php/nginx/61-nginx-nginx-conf
    • #nginx 서브 디렉토리 인덱스
    • #NGINX 가상호스트 사용자별 설정 예제 출처 : https://extrememanual.net/10008
    • #[Ubuntu] 우분투 NGINX(엔진엑스) 워드프레스 설정 출처: http://webdir.tistory.com/243 [WEBDIR]
    • #nginx index 404 Not Found /출처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42437073/nginx-returns-404-not-found-error-on-sub-pages
    • #nginx index 404 / 출처 : https://forum.nginx.org/read.php?11,3810,3830
    • #nginx conf index sub directory / 출처 : https://serverfault.com/questions/218818/nginx-projects-in-subfolders
    • nginx subdirectory 404 / 출처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24328628/nginx-php-fpm-subdirectory
    • nginx index 404 / 출처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41099318/nginx-location-404-not-found
    • xe-core xe 404
    • https://github.com/rhymix/rhymix/blob/master/common/manual/server_config/rhymix-nginx-help.md
    • NGINX 가상호스트 사용자별 설정 예제 / 출처 : https://extrememanual.net/10008
    • 폴더 이름 바꾸면 404 not found / 출처 : https://github.com/rhymix/rhymix/blob/master/common/manual/server_config/rhymix-nginx-subdir.conf
    • https://www.xetown.com/qna/639425#comment_640112
    서브디렉토리에 XE를 설치했을 때 백지화면이 뜰 경우Nginx 서버에서 XE를 설치할 때 root(/)에 설치할 경우 엔진엑스 설정파일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xe/ 과 같이 서브디렉토리에 설치할 경우는 정상적으로 출력되지 않습니다. 이 경우 링크를 참조하시거나 아래 설정을 참조하시면 됩니다. Nginx 서버에서 XE를 서브디렉토리(/xe/)에 설치한 경우 rewrite rule 설정 # block ... 더보기
  • 이미지
    2017-05-31
    글본문

    전부터 HABYeditor 라는 웹편집기를 사용해왔었다.
    HABYeditor는 어느분이 htmlarea 를 변형하여 만들어 판매했었는데 개인용은 가격이 저렴해서 구입한 후 일부 수정하여 사용했었다. 그러나 IE9와 사파리 같은 브라우저에서 일부 호환이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고, XE로 넘어오면서XE에 결합하는 방법을 알수가 없어서 그냥 단독 에디터로만 사용해왔다. 지금은 지원이 끊긴상태인거 같은데, 아무튼 이미지 다이알로그상자에서 곧바로 배경이미지를 넣은 테이블로 변형이 가능해서 웹메일 보낼때 배경있는 메일을 보내는데 즐겨 사용했었다.

    HABYeditor 개발하신 분이 툴바라던가 다이알로그박스 부분을 잘 정리하셨던지 htmlarea에 비해 예쁘고 단정한것이 나름 훌륭한 에디터다. 어떤 면에서는 호환성도 좋다고 할수 있다. tinyMCE가 열리지 않는 ipad에서조차 HABYeditor는 열린다. 다만 별 효용성은 없지만...

    사용하는 웹 에디터를 비교해 보면 대략 아래와 같다-순전히 내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HABYeditor - 디자인 예쁘고, 안정적인데 일부 웹브라우저 호환성 떨어짐. 다이알로그 등을 변형하기가 쉽다. 이미지브라우저가 DB를 이용하는데, 원하는 이미지만 공개할 수 있다. 설정이 어디가 잘못됐는지 삭제하면 DB에선 지워지는데 실제 파일은 남아있다.

    CKEditor -  디자인이 둥글둥글하지만 그다지 좋아하는 스타일은 아님. CKFinder 이미지브라우저를 설정했더니 이미지 관리가 되는데 이미지 비공개를 설정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음. 나름 꼼수를 부려서 로그인 안한경우는 특정 폴더 이미지를 가져오도록 설정해서 비슷한 효과를 얻고 있음. 생각보다 잘 작동하지 않는 브라우저가 있음.

    TinyMCE - 설정하느라 애먹었음. 내가 지식이 없어서지 생각보다 설정이 어렵지는 않은것 같음. 이미지 브라우저가 없어 처음에는CKFinder를 설정하려고 하다가 KCFinder 라는 무료 브라우저를 발견. 대박! 추후 XE의 기본 브라우저로 들어간다기에 TinyMCE + 수식편집기 + KCFinder + XE 조합을 고민함. 고민만.... TinyMCE 단독 설정 끝내고, 인터넷 찾다가 다른분이 XE에 결합한 내용을 보고 비슷한 구조면 되지 않을까 생각하여 폴더에 그대로 덮어씌워가며 최신버전을 넣어봤더니...되네...완전대박. 30분만에 우연히 XE와 TinyMCE 결합 성공. 구조는 같고 파일 2개정도면 변경하면 되는거 같음....와우...

    -- 공통된 문제점 : 모두다 대충 유행하는 웹브라우저에서 열리지만 IPAD 안열림...이거만 되면 좋겠는데...IOS 업그레이드하면 될라나 고민 중...

    -- 앞으로 할일 : TinyMCE 이모티콘 다양하게 하기, 이미지를 배경으로한 테이블 팝업 만들기

    ____ TinyMCE를 XE에 세팅하는 방법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 TinyMCE 다운로드 (여기클릭)
    2.  /XE폴더/modules/editor/skins/tinyMCE 폴더에 업로드(각 파일 위치 아래 참조)
      • tinyMCE 의 하위 폴더
        [폴더]editor 이 폴더안의 자료는 코드 수정한것 없음
        [폴더]images 이미지만 달랑 1개 있음. 수정할 거 없음
        [폴더]js tinyMCE의 jscripts 폴더임
        [폴더]tiny_mce
        [폴더]langs 한글 언어파일 설치
        [폴더]plugins 플러그인 모두 복사 수식편집 등 추가
        [폴더]themes 테마 모두 복사 테마 내용 일부 변형
        [폴더]utils 그대로 복사
        license.txt
        tiny_mce.js
        tiny_mce_popup.js
        tiny_mce_src.js
        이것도 그대로 복사
        xe_interface.js 이것 편집
        editor.html 이거 편집해야 함
        skin.xml
        ※ KCFinder 는 별도로 설치하고 경로와 함수를 설정하면 가져오게 됨 ....

    3. 각 파일의 편집 내용과 설정 방법은 생각이 날때마다 리플로 달립니다.
    전부터 HABYeditor 라는 웹편집기를 사용해왔었다. HABYeditor는 어느분이 htmlarea 를 변형하여 만들어 판매했었는데 개인용은 가격이 저렴해서 구입한 후 일부 수정하여 사용했었다. 그러나 IE9와 사파리 같은 브라우저에서 일부 호환이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고, XE로 넘어오면서XE에 결합하는 방법을 알수가 없어서 그냥 단독 에디터로만 사용해왔다. 지금은 지원이 끊긴... 더보기
  • 이미지
    2017-04-05
    글본문

    http://www.xeschool.com/xe/xenote_module_book_contentdelete

    http://cubequest.org/xe/index.php?document_srl=165788&mid=xe_core

    http://study4you.kr/xe/homepage/12979

    http://www.xeschool.com/xe/xenote_information

    http://www.egday.net/xetip/1638634

    https://github.com/xpressengine/xe-tutorial/tree/master/XML_Query/05_select_query_with_groupby

    https://technet.microsoft.com/ko-kr/library/ms191141(v=sql.105).aspx

    https://www.xpressengine.com/qna/23201291

    https://www.google.co.kr/webhp?sourceid=chrome-instant&ion=1&espv=2&ie=UTF-8#q=xe+%EB%8C%93%EA%B8%80+%EC%B6%94%EC%B2%9C%EC%88%98+%ED%95%A9%EC%82%B0&*

    https://www.xpressengine.com/forum/20265791

    https://www.xpressengine.com/qna/23041348

    https://www.xpressengine.com/qna/22652802

    https://www.google.co.kr/search?q=xe+voted_count+%EB%B3%80%EC%88%98&oq=xe+voted_count+%EB%B3%80%EC%88%98&aqs=chrome..69i57j69i64l3.5804j0j7&sourceid=chrome&ie=UTF-8

    http://www.xeschool.com/xe/xenote_02_04_02

    http://www.xeschool.com/xe/xenote_module_admin_controller_insert

    https://www.google.co.kr/search?q=%EC%BD%94%EB%A9%98%ED%8A%B8+procBoardVoteDocument&oq=%EC%BD%94%EB%A9%98%ED%8A%B8+procBoardVoteDocument&aqs=chrome..69i57.5647j0j7&sourceid=chrome&ie=UTF-8

    https://github.com/xpressengine/xe-tutorial/tree/master/XML_Query/11_update_query

    https://tocup.net/xe/tech/51662

    http://sejin7940.co.kr/index.php?document_srl=69184&mid=xe_tips

    http://linfree.com/computer_linux/14473

    http://linfree.com/computer_linux/14469

    https://www.xpressengine.com/forum/22571903

    https://chongmoa.com:45183/xe/6826

    https://www.google.co.kr/webhp?sourceid=chrome-instant&ion=1&espv=2&ie=UTF-8#q=xe+%EC%BF%BC%EB%A6%AC+%EC%B6%94%EC%B2%9C&*

    https://www.google.co.kr/search?q=xe+%EC%BD%94%EB%A9%98%ED%8A%B8+%EC%B6%94%EC%B2%9C%EC%88%98+%EB%8D%94%ED%95%98%EA%B8%B0&oq=xe+%EC%BD%94%EB%A9%98%ED%8A%B8+%EC%B6%94%EC%B2%9C%EC%88%98+%EB%8D%94%ED%95%98%EA%B8%B0&aqs=chrome..69i57j69i64l3.4200j0j4&sourceid=chrome&ie=UTF-8#q=xe+procDocumentVoteUp&*

    http://1sam.kr/index.php?mid=xe_tips&order_type=asc&page=2&sort_index=readed_count&listStyle=list&document_srl=71046

    http://web.geusgod.pe.kr:8081/xe

    http://highcode.tistory.com/6

    https://snet.weheo.com/serverTip/966#site_login

    https://phpschool.com/gnuboard4/bbs/board.php?bo_table=qna_function&wr_id=437479&sca=&sfl=wr_subject%7C%7Cwr_content&stx=&sop=and

    https://www.google.co.kr/search?q=%EA%B0%88%EC%BF%A0%EB%A6%AC+%EC%A0%95%EA%B7%9C%EC%8B%9D&oq=%EA%B0%88%EC%BF%A0%EB%A6%AC+%EC%A0%95%EA%B7%9C%EC%8B%9D&aqs=chrome..69i57.4367j0j7&sourceid=chrome&ie=UTF-8

    http://xecenter.com/xe/open_tip/

    https://www.xpressengine.com/tip/17686946

    http://www.xeschool.com/xe/xenote_module_book_contentdelete http://cubequest.org/xe/index.php?document_srl=165788&mid=xe_core http://study4you.kr/xe/homepage/12979 http://www.xeschool.com/xe/xenote_information http://www.egday.net/xetip/1638634 https://github.com/xpressengine/xe-tutorial/tree/master/XML_Query/05_select_query_with_groupby https://tec... 더보기
  • 이미지
    2017-04-02
    글본문

    참조

    정규표현식(Pattern Matching) 완전 정리! 출처: http://highcode.tistory.com/6 [HighCode]
    http://highcode.tistory.com/6

    정규식] 줄바꿈 문자(개행문자; 엔터 키) 매치; CR-LF Enter Key Match Regex
    http://mwultong.blogspot.com/2007/02/cr-lf-enter-key-match-regex.html

    정규식테스트사이트
    http://regexr.com/

    정규식테스트사이트(php)
    http://www.phpliveregex.com/

    Regular expression 정규식 참고자료
    http://1sam.kr/index.php?mid=xe_tips&order_type=asc&page=2&sort_index=readed_count&listStyle=list&document_srl=71046

    참조 정규표현식(Pattern Matching) 완전 정리! 출처: http://highcode.tistory.com/6 [HighCode] http://highcode.tistory.com/6 정규식] 줄바꿈 문자(개행문자; 엔터 키) 매치; CR-LF Enter Key Match Regex http://mwultong.blogspot.com/2007/02/cr-lf-enter-key-match-regex.html 정규식테스트사이트 http://regexr.com/ 정규식테스트사이트(php) http://www.phpliveregex.... 더보기
  • 이미지
    2017-04-02
    글본문

    가격 : 330,000 원

    자료 분류 XE 모듈 0 / 0
    라이선스 기타 라이선스
    제작자 지지톡
    홈페이지 http://ggtalk.com
    설치 경로 ./modules/ggcloner
    최초 등록일 2015-10-23 17:47 전체 다운로드 10
    최근 버전 1.3
    다운로드 0
    최근 업데이트 2016-11-13 20:41 0 / 0
    제품 문의 : [1:1 문의하기]
    커스터마이징 개발 비용 : [바로가기]
    커스터마이징 개발 문의 : [바로가기]
     

    - 1.0 이하에서 업데이트 하시는 분들은 파싱설정에 변화가 있으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스크린샷 2015-10-23 오후 5.49.36.png

    스크린샷 2015-10-23 오후 5.49.45.png

    스크린샷 2015-10-23 오후 5.50.02.png

    스크린샷 2015-10-23 오후 5.50.28.png

    스크린샷 2015-10-23 오후 5.50.48.png

    -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지 않고 운영중인 사이트의 게시판 컨텐츠들을 나의 XE 게시판으로 옮겨 주는 게시판 마이그레이션 모듈입니다.

    - 타겟 게시판 1개당 각각의 모듈로 생성되므로 관리가 용이하고 무한대로 등록이 가능합니다.

    - 정규식을 사용하여 컨텐츠를 추출하는 방식이므로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 세팅 및 설치는 유료 서비스이며 1:1 게시판을 이용하여 신청해 주십시오. 이때, XE 사이트가 아닌 경우 마이그레이션이 불가능한 사이트가 있을 수 있으니 미리 데모 페이지를 참고하여 충분히 테스트 해 보신 다음 구매 하시기 바랍니다.

    - [주의] 충분한 테스트 없이 미리 무작정 구매하고 환불 요청 하시는 경우 환불이 거절됩니다.

    [ 세팅 항목 설명 ]

    기본설정 : 모듈을 선언합니다.

    - 클론 생성모듈 MID : 모듈의 MID 값을 설정합니다.

    - 클론 생성모듈 Name : 단순한 모듈명입니다.

    - 등록자 방식 설정 : 랜덤 로그인 회원은 가입된 회원들의 이메일을 입력하여 2개 이상이라면 랜덤으로 해당 회원 정보로 게시글을 등록합니다. 등록자 닉네임 파싱은 이메일 주소를 하나 고정하여 등록하면서 닉네임은 실제 타겟 게시판의 파싱된 닉네임으로 삽입하는 방식입니다.

    - 등록자 email : 등록자 방식을 설정한 후에 한개 이상의 이메일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등록자 닉네임 파싱의 경우는 하나만 입력합니다.

    - 입력 대상 게시판 : 선택 버튼을 누르면 게시판 리스트가 나오고 원하시는 게시판을 선택합니다.

    - 입력 대상 게시판 분류 : 선택한 게시판에 분류가 설정되어 있다면 자동으로 분류가 나오고 선택이 가능합니다.

    - 언어셋 설정 : UTF-8 이 아닌 사이트를 파싱할 경우 설정합니다.

    로그인 설정 : 만약 타겟 게시판이 로그인이 필요한 게시판일때 사용합니다.

    - 타겟 게시판 로그인 URL : 로그인을 진행하는 URL을 찾아 입력합니다. (예 : http://ggtalk.com/index.php?mid=home&act=dispMemberLoginForm )

    - 로그인 아이디 변수명 : 아이디가 입력되는 변수명을 찾아 입력합니다. (예 : user_id )

    - 로그인 아이디 : 나의 로그인 아이디를 입력합니다.

    - 로그인 패스워드 변수명 : 패스워드가 입력되는 변수명을 찾아 입력합니다. (예 : password )

    - 로그인 패스워드 : 나의 로그인 패스워드를 입력합니다.

    파싱 리스트 설정 : 파싱의 1단계 리스트 추출하기 입니다.

    - 타겟 사이트 게시판 URL : 파라미터를 제외한 기준이 되는 URL을 입력합니다. (예 : http://ggtalk.com )

    - 타겟 사이트 리퍼러 : 리퍼러로 이용할 URL을 입력합니다. (예 : http://ggtalk.com )

    - 타겟 게시판 파라미터 : 파싱 리스트를 불러올 URL의 파라미터를 입력합니다. (예 : /index.php?mid=notice )

    - 타겟 게시판 페이지 파라미터 : 파싱 리스트를 불러올 URL의 페이지 파라미터를 입력합니다. (예 : &page= )

    - 타겟 게시판 정렬 파라미터 : URL 주소 마지막에 list/thumbnail/gallery 등과 같은 정렬 방식이 필요할 때 이용합니다. (예 : #list )

    - 타겟 게시판 페이지 한계 : 최근 글로부터 최대 몇 페이지까지 파싱할 것인지 설정합니다. 너무 많은 페이지를 설정하면 서버에 무리가 갑니다.

    - 타겟 게시판 페이지 단위 : 보통 1페이지는 1로 표시되지만 1페이지가 100단위라면 100을 입력합니다.

    - 타겟 게시판 페이지 최소 : 최소 페이지가 보통 1이며 가끔 0인 경우도 있습니다.

    - 타겟 게시판 리스트 파싱 정규식 : 게시판 리스트를 구하는 php 정규식을 입력합니다.

    - 타겟 게시판 제외 리스트 URL : 정규식으로 리스트를 추출하였으나 부득이하게 그 가운데 특정 URL을 제외해야 할 경우 사용합니다.

    컨텐츠 파싱 설정 : 파싱의 2단계 컨텐츠 추출하기 입니다. 각 항목마다 추가되어 있는 URL 정규식은 만약 해당 내용이 한번 더 URL 을 추출해서 들어가 파싱해야 하는 경우 이용합니다.

    - 제목 파싱 URL 정규식 : 제목의 URL을 구하는 php 정규식을 입력합니다. 입력하지 않으면 기존 내용에서 파싱합니다.

    - 제목 파싱 정규식 : 제목을 구하는 php 정규식을 입력합니다.

    - 작성자 파싱 URL 정규식 : 작성자의 URL을 구하는 php 정규식을 입력합니다. 입력하지 않으면 기존 내용에서 파싱합니다.

    - 작성자 파싱 정규식 : 작성자를 구하는 php 정규식을 입력합니다.

    - 내용 파싱 URL 정규식 : 내용의 URL을 구하는 php 정규식을 입력합니다. 입력하지 않으면 기존 내용에서 파싱합니다.

    - 내용 파싱 정규식 : 내용을 구하는 php 정규식을 입력합니다.

    - 작성일 파싱 URL 정규식 : 작성일의 URL을 구하는 php 정규식을 입력합니다. 입력하지 않으면 기존 내용에서 파싱합니다.

    - 작성일 파싱 정규식 : 작성일을 구하는 php 정규식을 입력합니다.

    - 작성일 파싱 정규식 제외문자 : 작성일을 표현하는 방식이 다양하기 때문에 혹시 특수문자를 제외해야 하는 경우 이용합니다.

    - 조회수 파싱 URL 정규식 : 조회수의 URL을 구하는 php 정규식을 입력합니다. 입력하지 않으면 기존 내용에서 파싱합니다.

    - 조회수 파싱 정규식 : 조회수를 구하는 php 정규식을 입력합니다.

    - 태그 파싱 URL 정규식 : 태그의 URL을 구하는 php 정규식을 입력합니다. 입력하지 않으면 기존 내용에서 파싱합니다.

    - 태그 파싱 범위 정규식 : 태그가 내용에 있다던가 특정한 범위에 있는데 추출하기 힘들 때 한번 범위를 좁히는 정규식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 태그 파싱 정규식 : 태그를 구하는 php 정규식을 입력합니다. 정규식이 아닌 특정 문자를 입력하면 입력한대로 등록됩니다.

    - 이미지 파싱 URL 정규식 : 이미지의 URL을 구하는 php 정규식을 입력합니다. 입력하지 않으면 기존 내용에서 파싱합니다.

    - 이미지 파싱 범위 정규식 : 이미지의 파싱 범위를 구하는 php 정규식을 입력합니다. 입력하지 않으면 기존 내용에서 파싱합니다.

    - 이미지 상대경로 도메인 : 이미지 경로가 상대경로로 되어 있을 시 기준이 되는 도메인 주소를 입력합니다.

    - 이미지 파싱 정규식 : 이미지를 구하는 php 정규식을 입력합니다.

    - 이미지 다운로드 여부 : 이미지를 실제로 다운로드 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합니다.

    사용자 정의 파싱 설정 : 만약 게시물을 등록하고자 하는 게시판에 사용자 정의가 설정되어 있다면, 설정중인 모듈을 한번 저장하고 다시 수정을 시도하시면, 사용자정의 설정 항목이 자동 노출됩니다.

    - 사용자 정의 URL 정규식 : 사용자정의의 URL을 구하는 php 정규식을 입력합니다. 입력하지 않으면 기존 내용에서 파싱합니다.

    - 사용자 정의 파싱 정규식 : 사용자정의를 구하는 php 정규식을 입력합니다.

    가격 : 330,000 원 자료 분류 XE 모듈 0 / 0 라이선스 기타 라이선스 제작자 지지톡 홈페이지 http://ggtalk.com 설치 경로 ./modules/ggcloner 최초 등록일 2015-10-23 17:47 전체 다운로드 10 최근 버전 1.3 다운로드 0 최근 업데이트 2016-11-13 20:41 0 / 0 제품 문의 : [1:1 문의하기] 커스터마이징 개발 비용 : [바로가기] 커스터마이징 개발 문의 : [바로가기] - 1.0 이... 더보기
  • 이미지
    2017-03-30
    글본문

    http://overcode.tistory.com/entry/xe-%EB%A9%94%EB%89%B4-%EC%B6%94%EA%B0%80%EC%97%90-%EB%82%B4%EA%B0%80-%EB%A7%8C%EB%93%A0-%EB%AA%A8%EB%93%88-%EB%82%98%EC%98%A4%EA%B2%8C-%ED%95%98%EA%B8%B0-xe-%EC%82%AC%EC%9D%B4%ED%8A%B8%EB%A9%94%EB%89%B4%EC%97%90-module-%EC%B6%94%EA%B0%80

    http://m.blog.naver.com/lsv400/100068399818

    시작

    1) 의뢰한 사이트 : http://www.stylemilk.net/stylemilk/index
    2) 의뢰 게시물 : http://eond.com/client/380089

    모듈

    1) 판매중인별점모듈 : http://xenara.zaggu.net/index.php?mid=qna&document_srl=19162&comment_srl=19170&rnd=19173#comment_19173
    2) 개발중인별점모듈 - index.html 파일이 빠져있음
    https://github.com/1Sam/star_rating_config

    위젯
    1) https://www.conory.com/index.php?_filter=search&mid=use_forum&search_keyword=%EC%9C%84%EC%A0%AF&search_target=title_content&document_srl=47799
    2) 위젯예제 : http://fun.eond.com/index.php?mid=client20170330
    3) 위젯자료 : https://www.xetown.com/qna/547984#comment_547994
    #xe 댓글 출력

    참조
    1) 의뢰내역 : https://www.xpressengine.com/request/22594859
    2) 최근게시물위젯에 확장변수 추가하기 : http://musiclife.tistory.com/entry/%EC%B5%9C%EA%B7%BC%EA%B2%8C%EC%8B%9C%EB%AC%BC-%EC%9C%84%EC%A0%AF%EC%97%90-%ED%99%95%EC%9E%A5%EB%B3%80%EC%88%98-%ED%91%9C%EC%8B%9C%ED%95%98%EA%B8%B0

    http://overcode.tistory.com/entry/xe-%EB%A9%94%EB%89%B4-%EC%B6%94%EA%B0%80%EC%97%90-%EB%82%B4%EA%B0%80-%EB%A7%8C%EB%93%A0-%EB%AA%A8%EB%93%88-%EB%82%98%EC%98%A4%EA%B2%8C-%ED%95%98%EA%B8%B0-xe-%EC%82%AC%EC%9D%B4%ED%8A%B8%EB%A9%94%EB%89%B4%EC%97%90-module-%EC%B6%94%EA%B0%80 http://m.blog.naver.com/lsv400/100068399818 시작 1) 의뢰한 사이트 : http://www.... 더보기
  • 이미지
    2017-03-24
    글본문

    delete from xe_members where group field=

    phpMyAdmin이나 XE 관리자화면에서 일일이 체크해서 삭제하려다 웹호스팅 CPU 제한에 걸려서 사이트 작업이 안되서 쉘에서 하는 방법을 찾아봤습니다.

    1. 회원삭제

    XE 회원테이블에서 member_srl 이 1000 이상인 회원 모두 row 삭제하기

    delete from xe_member where member_srl >= 1000;

    2. 글 삭제

    XE 도큐멘트 테이블에서 document_srl 이 20087 이상인 글 모두 삭제하기

    delete from xe_documents where document_srl >= 20087;

    참조 : 

    MySQL 쉘에서 접속하는 방법

    https://eond.com/index.php?mid=tip&category=19157&document_srl=19260

    검색해서 삭제하는 방법

    https://eond.com/index.php?mid=tip&category=19157&document_srl=372038

    안창홍 작가님 홈페이지 수정했던 sql 명령

    1. 티티호스팅 홈페이지에 로그인

    2. 호스팅관리 > DB 매니저 > 테이블목록 > 문제 테이블 보기 > 하단의 SQL 실행탭에서 다음 명령어 실행 했음.
    스팸회원 삭제:

    delete from xe_member where member_srl >= 1000;

    스팸 임시저장 문서삭제:

    delete from xe_documents where status = "TEMP";

    방명록 게시글 전체 삭제:
    delete from xe_documents where module_srl = 630462;

    출처 :

    http://hdvr.org/xe/krpano/550

    https://funnyxe.com/XEtip/232192

    delete from xe_members where group field= phpMyAdmin이나 XE 관리자화면에서 일일이 체크해서 삭제하려다 웹호스팅 CPU 제한에 걸려서 사이트 작업이 안되서 쉘에서 하는 방법을 찾아봤습니다. 1. 회원삭제 XE 회원테이블에서 member_srl 이 1000 이상인 회원 모두 row 삭제하기 delete from xe_member where member_srl >= 1000; 2. 글 삭제 XE 도큐멘트 테이블에서 documen... 더보기
  • 이미지
    2016-03-10
    글본문

    설치경로 ./addons/auto_image

    개인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사이트의 특성상 연령대가 높은 편입니다. 아무래도 컴퓨터나 인터넷에 익숙치 않은 분들이 대부분입니다.  사진은 첨부했지만 본문삽입을 하지 않아서 자주 헤프닝이 벌어집니다.

    첨부된 이미지는 본문삽입을 하지 않아도 강제로 출력하게 하는 애드온입니다. 본문에 삽입된 이미지와 첨부된 이미지를 비교해서 삽입되지 않았으면 본문의 맨앞쪽에 강제로 출력하게 해주는 애드온입니다.

    댓글 첨부화일 강제출력은 설정시 선택할 수 있습니다.  워낙 간단한 애드온이니까 설치나 설정이 간단합니다.

    cf) board, boardEx, Textyle 모듈에서 작동합니다. 

    자료출처 - http://www.wildgreen.co.kr/?mid=textyle&category=296820&vid=karma&document_srl=297443

    출처 : http://www.withhong.com/xe/index.php?category=179734&mid=software&sort_index=title&order_type=desc&document_srl=189521


    https://www.xpressengine.com/qna/22599277

    이미지 자동삽입 자동출력 애드온이 작동이 안되요 ㅜㅜ

    현재 xe 1.7.4 최신버전 사용하고있습니다.

    이미지 자동삽입 자동출력 애드온이 적용이안되더라구요ㅜ.ㅜ

    아제나님이 달아주신 댓글을 적용해보려고하는데

    php는 문외한이라 if문을 어떻게 묶어야 할지 잘모르겠네요.. 

    잘아시는분 도움 부탁드립니다..!

     

    관련링크

    http://www.xpressengine.com/?mid=download&package_srl=18828577

     

    아제나님댓글

    XE 1.7.3.6 버젼에서 모바일 파일 업로드 기능을 추가했더니 파일처리하면서 document_srl을 받지 못하여 오류가 발생하네요. 

    auto_image.addon.php 파일에 32번 라인에서 
    $document_srl 값이 없을 경우에는 아래 내용이 처리되지 않도록 if 문으로 묶어주니 문제가 해결되었습니다. 다음 버젼에 반영해주시면 좋을 것 같네요. 그냥 두면 executeQuery 에서 문서가 없다고 아래와 같은 alert 창이 발생합니다.

    문서번호 값은 반드시 필요합니다.

     

     

    저도 해당문제로 골머리를 앓다가 해결하여 답변드립니다.

     

    auto_image.addon.php 의

     

    //본문 강제삽입 부분을

     

    if($addon_info->insert_mode !='N' && $called_position == 'after_module_proc' && in_array($this->act,$document_act) ) {
     $oFileModel = &getModel('file');
     $var = $this->variables;
     $document_srl = $var[document_srl];
        if($document_srl != null) {
     $args->document_srl = $document_srl;
     $output =  executeQuery('document.getDocument', $args);
     $content = $output->data->content;
     $title = $output->data->title;
     $files = $oFileModel->getFiles($document_srl);
     
     if(count($files)) {
      $target_list = getTargetImg($content,$files);
      if(count($target_list)) {
       if($addon_info->insert_sequence =='Y') krsort($target_list);
       $obj->document_srl = $document_srl;
       foreach($target_list as $key=>$val) {
        $content = $p."<img src=\"".$val->uploaded_filename."\" alt=\"".$val->source_filename." : ".$title."\" title=\"".$val->source_filename." : ".$title."\" $style>".$ep.$content;
       }
       $obj->content = $content;
       $output = executeQuery('addons.auto_image.updateDocument', $obj);

      }
     }
      }
    }

     

    문서 값이 없을 경우 자동출력하지 않게하여 간헐적으로 '문서번호 값이 없습니다'라고 뜨던 문제 해결하였습니다.


    애드온))이미지 자동출력 ver. 0.3.1

    0.3.1에서 바뀐 점

    1. 이중노출문제 수정
    화일이름에 공백문자나 일부 특수문자가 들어있는 경우 이중등록되던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조언을 주신 백성찬님께 감사드립니다.

    2. 메시지 변경
    강제라는 단어가 갖는 부정적인 이미지 때문에
    자동출력시 보여주는 "강제등록된 이미지입니다. "라는 메시지를
    "자동출력된 이미지입니다."로 바꿨습니다.

    피드백은 http://www.wildgreen.co.kr/?mid=textyle&category=296820&vid=karma&document_srl=297443

    배포자 카르마

     auto_image.zip


    0.5.6버전에서 바뀐점
    이미지 메시지 변경
    기존의 "자동삽입된 이미지입니다." 또는 "자동출력된 이미지입니다."를 화일이름과 문서제목으로 출력하게 수정했습니다.
    검색로봇을 통한 이미지의 검색 친화적으로 변경했습니다.
    기존의 메시지 대신 화일이름과 문서의 제목을 출력하게 수정했습니다.

    0.5.5 버전에서 바뀐점
    이미지 화일 인식에 문제가 있어서 수정했습니다. 

    0.5.4버전에서 바뀐 점 
     1.4.5에서 중복노출되던 문제가 수정되었습니다. 1.4.5버전에서는 이미지노출방식이 URL방식으로 바뀌었습니다. 기존 path 방식으로 검색시 발생하던 이중노출문제를 수정했습니다. 
     자동삽입이나 혼합방식을 선택한 경우 본문내용이 사라지던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document 모듈이 바뀌어서 본문내용을 못가져오는 현상이 있었습니다. 애드온 자체 쿼리를 이용해서 본문내용을 가져오게 수정했습니다.

    배포자 카르마

    auto_image0.5.6.zip

    출처 : http://ssagajikr.tistory.com/entry/%EC%95%A0%EB%93%9C%EC%98%A8%EC%9D%B4%EB%AF%B8%EC%A7%80-%EC%9E%90%EB%8F%99%EC%82%BD%EC%9E%85-%EC%9E%90%EB%8F%99%EC%B6%9C%EB%A0%A5-ver-056


     

    설치경로 ./addons/auto_image 개인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사이트의 특성상 연령대가 높은 편입니다. 아무래도 컴퓨터나 인터넷에 익숙치 않은 분들이 대부분입니다. 사진은 첨부했지만 본문삽입을 하지 않아서 자주 헤프닝이 벌어집니다. 첨부된 이미지는 본문삽입을 하지 않아도 강제로 출력하게 하는 애드온입니다. 본문에 삽입된 이미지와 첨부된 이미지를 비교해서 삽입되지... 더보기
  • 이미지
    2016-03-10
    글본문

    https://www.xpressengine.com/index.php?&mid=qna&search_target=title_content&search_keyword=sweet&document_srl=22965819

     

    모바일 메인형을 사용하고 싶은데 계속 아래 사진과 같이 나옵니다.캡처.JPG

    다시 해보고 해보고 또 해보고 이렇게도 해보고 저렇게도 해보고 xecontest.handyxe.com도 보고 xecon.xdt.kr/xemain도 보고 설정을 해봤는데 아무리 해도 저렇게 나옵니다..

    혹시 http://xecon.xdt.kr/xemain 처럼 제대로 나오시는 분 있으시면 어떻게 설정하셨는지 말씀좀 부탁드립니다.

     


     

    위젯페이지를 만들어서 메인대문으로 사용하였습니다.
    모바일과 pc가 전혀 다르게 적용하려고 하다보니 고민이 많았는데
    (사용하는 레이아웃이 각각 다르니까요)

    막상 건드려보니 하단에 페이지수정에서 pc/모바일이 
    각각 전혀 다르게 먹더군요.

    (즉 컴으로 작업하시겠지만) 최하단 최우측 모바일보기로 눌러놓으시고 pc메인용 위젯페이지 내용을 전부 삭제하셔도 됩니다.

    그 다음에 모바일 컨텐츠상자를 추가하셔서
    sweetmobile 위젯 스킨을 적용하세요.

    그냥 해본거였는데 모바일 화면과 pc화면이
    위젯 페이지 내용이 전혀 각각 적용되어서
    저도 놀랐...ㅎ

     


    저도 동일한 증상입니다. 그래서 모바일-페이지수정-상자추가 로 빈상태로 하거나

     

    내용직접추가 해서 단순이 글만 적었을때는 정상작동이 되더군요.

     

    어쩐일인지 최근 위젯만 넣으면 작동이 되지 않습니다. 

     

    제작자 홈페이지가 들어가지 않아 지금 손을 못대고 잇네요 ㅠ


     

    저도 무지 방황을 하다 임시방편으로 해결을 했습니다.

    일단은 레이아웃을  복사본생성을 해서 다른이름으로 복사를  해놓으세요 그리고  

    복사하기 전에 메인 레이아웃은 메인슬라이드 타입으로 으로 설정을 하세요

    그리고 복사본으로  생성한 레이아웃은  본문타입을 서브 타입

    으로 변경해주세요..

    그리고    메뉴중에 "홈"의 레이아웃 디자인을  메인슬라이드 탑입으로 해놓으신 원본레이아웃

    을 선택하시고 , 다른 모든 메뉴의 디자인은  레이아웃을  복사해둔

    복사본(서브타입) 으로 변경해 주시면 됩니다.  그럼 잘됩니다.

    단점이 있다면 슬라이드메뉴중 한메뉴당 한 위젯만 사용 할수 있어요 메인 슬라이드 메뉴가 4개라면 순서대로 위젯

    4개만 사용할수 있습니다.

     


     

    저는 왜 안되는지요?
    메인 위젯 페이지에서 박스위젯 만들고
    그뒤에 모바일 콘덴츠에서 게시판 위젯을 만들고
    드래그에서 박스로 넣었는데
    메인 슬라이드를 선택하면 아무것도 보이지를
    않습니다.
    서브타입을 선택하면보이는데....

     

    상단의 로고의 부분과 foot 매뉴만 보입니다.

    상단의 사이트 매뉴란을 눌러도 반응이 없고,

    성공하신분 중에서 가벼운 팁이라도 

    링크를 걸어주시면 고맙겠읍니다.

     

     


    사이트 디자인 관리에서 모바일 레이아웃의 타입을 메인 슬라이드 타입으로 바꾸시고,
    사용할 만큼의 개수만큼 @으로 구분하여 씁니다.
    ex) 가, 나, 다 슬라이드 메뉴를 생성하려면 가@나@다
    위젯 페이지에서 화면의 내용을 모두 지우시고 슬라이드 개수만큼 박스위젯을 추가하고, 각 컨텐츠를 박스위젯 안으로 드래그앤드롭 하시명 됩니다.

    https://www.xpressengine.com/index.php?&mid=qna&search_target=title_content&search_keyword=sweet&document_srl=22965819 모바일 메인형을 사용하고 싶은데 계속 아래 사진과 같이 나옵니다. 다시 해보고 해보고 또 해보고 이렇게도 해보고 저렇게도 해보고 xecontest.handyxe.com도 보고 xecon.xdt.kr/xemain도 보고 설정을 해봤는데 아무리 해도 저렇게 나옵니다.. 혹시 ... 더보기
  • 이미지
    2016-03-03
    글본문

    XE를 처음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필요한 자료들

     

    * 컨택어스

    모듈 : XE Contact Us (상담을 메일로 받아볼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스킨 : Cameron Contact Us 스킨 by Treasurej (XE Contact US 스킨입니다. 깔끔한 디자인입니다.)

     

     

    * 게시판

    SketchBook5 게시판 스킨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한데, 특히 일반 리스트형 게시판은 디자인이 깔끔하고, 이미지형 갤러리는 기능과 디자인이 화려합니다. 가장 많이 쓰는 게시판 스킨 중에 하나입니다.)

     

     

    * 위젯과 위젯스킨

    달력 (깔끔한 기본 달력 위젯입니다.)

    탭형 인기글/최신글/최신댓글 위젯 : 심플탭 스킨 / 라운드탭 스킨 (인기글과 최신글과 댓글을 탭형식으로 출력해주는 위젯과 스킨입니다.)

    컨텐츠 확장 위젯 (XE기본 컨텐츠 위젯에 다양한 기능이 추가된 막강 프로그램입니다.)

    컨텐츠 슬라이더 위젯 : Nivo Slider / bxSlider / Pretty Photo (이 외에도 다양한 슬라이더가 있습니다.) (멋진 슬라이더를 사용할 때 필요한 위젯과 스킨입니다.)

    플래쉬 회전하는 태그 위젯 (태그 텍스트가 3D로 멋지게 돌아갑니다.)

     

     

    * 소셜 기능

    페이스북 좋아요 (게시물에 페이스북 좋아요 기능과 아이콘을 달아줍니다.)

    요약 책갈피 (게시물에 페이스북, 트위터, 미투데이 등의 SNS으로 퍼가기 하는 기능과 아이콘을 달아줍니다.)

     

     

    * 유용한 기능

    PrettyPhoto 이미지 뷰어 (게시물 안에 이미지를 클릭하면 크게 확대해서 보이는데 이 뷰어를 쓰면 더 멋지게 보이게 합니다.)

    메뉴에 새글 표시 모듈 (새글이나 새댓글이 등록되었을 때 메뉴에 N(New)이나 U(Update)를 붙여주는 기능입니다.)

    XE 알림센터 Lite (자신의 글에 댓글이 달렸을 경우 알려주는 기능입니다.)

    XE SEO (XE 사이트의 검색 엔진 최적화 기능입니다. 구글 Analytics 기능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XE를 처음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필요한 자료들 * 컨택어스 모듈 : XE Contact Us (상담을 메일로 받아볼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스킨 : Cameron Contact Us 스킨 by Treasurej (XE Contact US 스킨입니다. 깔끔한 디자인입니다.) * 게시판 SketchBook5 게시판 스킨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한데, 특히 일반 리스트형 게시판은 디자인이 깔끔하고, 이미지형 갤러리는 ... 더보기
  • 이미지
    2016-02-23
    글본문

    원본글 : http://sejin7940.co.kr/index.php?mid=xe_tips&document_srl=103487

    제 사이트의 글을 가져온거기에 말이 좀 짧을 수 있습니다.

     

    -------------------------------------------------------------------

     

     

    통합검색 사용여부 설정 가능하게 설정 추가 하였다.

     

    레이아웃에서 통합검색 폼을 안 만들어두면 통합검색이 안 될듯하지만

    실제 주소를 알면 어느 사이트든 통합검색이 가능해진다.

    ( 관련 주소는 혹시나 싶어 기재하지 않지만,   예를들어  XE 공홈도 통합검색이 가능하다.

      물론 XE는 과거 통합검색을 허용했던 적이 있기에 노출가능한 게시판의 제한이 걸려 있어 문제는없지만.. )

     

     

    물론 해당 유저가 통합검색 설정을 미리 해둬서 특정 게시판만 검색되도록 제한을 해뒀으면 무관하지만

    어차피 통합검색을 안 쓸거라고 생각하고 특별히 설정을 하지 않은 경우는..

     

    해당 사이트에 있는 모든 글과 댓글 들이 검색되어버린다.

    물론 비밀글 처리되어있거나, 접근/보기 권한등이 막아두었다면.. 내용은 볼 수 없지만

    (그래도 제목이 보인다는 것만으로도 짜증날 수 있다. . 심지어 댓글의 경우 3줄정도까지 내용이 다 보이고..)

     

    진짜 문제 될 수있는건..

    관리자가 자기 혼자 쓰려고, 노출되는 메뉴 에 넣지 않고 별도로 관리자만 아는 mid 주소로 빼둔 게시판 등이 있고

    이 게시판에 대해 당연히 주소를 모를거라고 생각하고, 접근 권한을 막아두지 않은 경우 발생한다

    당연히 이렇게만 해둬도 노출이 안 되는걸로 보이니.. 충분히 안심하고 있을 수 있는 상황일듯 싶다..

    그런데, 이런 글은 검색을 통해 게시판을 찾을 수도 있고, 자칫하면 열람이 가능해져버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결국 XE 의 숙련도에 달려있는 부분인데, 자칫하면 꽤 애매한 보안문제가 생길 수 있다..

     

    그래서 통합검색 자체의 기본설정을 '사용불가' 로 해두고..  ( 사용불가시에도 최고관리자는 사용 가능)

    이를 사용하고픈 경우, 통합검색 모듈 설정에 와서, '전체 사용'으로 하면 손님도 사용 가능하고

    '회원 사용'으로 허가한 경우,  하단에서  사용그룹 지정을 별도로 하여 특정그룹 또는 전체회원 이 사용가능하게 설정이 가능하다.

     

    물론 기존에 통합검색을 자연스럽게 쓰던 사이트들은 관리자가 통합검색 모듈에서 가서 한번 설정을 해줘야하는 불편이 따르지만

    그동안 통합검색 대상에 대한 제한을 안 걸어서 모든게 검색 될 수 있다는걸 이 기회에 알게 해주는 효과도 있고

    보완 이슈가 될 수 있는 이상, 기존 사이트들에게 불편을 주더라도 막아 재설정하는게 맞다고 생각한다.

     

     

     

     

     

     

    통합검색 사용여부 설정 가능하게 설정 추가

    기본은 사용이 가능하지만
    관리자가 통합검색 모듈 설정에서, 사용 불가로 설정가능하도록

     

    1. modules/intergration_search/tpl/index.html 에서

    <input type="hidden" name="xe_validator_id" value="modules/integration_search/tpl/index/1" />

    아래에 추가


    <div class="x_control-group">
     <label class="x_control-label">{$lang->use}</label>
     <div class="x_controls">
      <select name="use">
       <option value="N">{$lang->notuse}</option>
       <option value="M" selected="selected"|cond="$config->use=='M'">{$lang->member} {$lang->use}</option>
       <option value="Y" selected="selected"|cond="$config->use=='Y'">{$lang->all} {$lang->use}</option>
      </select>
     </div>
    </div>
    <div class="x_control-group">
     <label class="x_control-label" for="use_group">{$lang->grant_access}</label>
     <div class="x_controls">
      <!--@foreach($group_list as $key_group=>$val_group)-->
      <label for="target_group_srl_{$key_group}" style="float:left; margin-right:10px;"><input type="checkbox" name="use_group[]" id="target_group_srl_{$key_group}" value="{$key_group}" <!--@if(in_array($key_group,$config->use_group))-->checked<!--@end-->>{$val_group->title}</label>
      <!--@end-->
      <p class="x_help-inline">{$lang->about_grant_access}</p>
     </div>
    </div>

     

     


    2. modules/integration_search/integration_search.admin.view.php 에서

    function dispIntegration_searchAdminContent 함수 내부에

    $security = new Security();  위에다가 추가

    $oMemberModel = &getModel('member');
    $group_list = $oMemberModel->getGroups();
    context::set('group_list',$group_list);

     

     


    3. modules/integration_search/integration_search.admin.controller.php 에서

    function procIntegration_searchAdminInsertConfig()  함수내에

    $args = new stdClass;  아래에다가 추가

    $args->use = Context::get('use');
    $args->use_group = Context::get('use_group');

     

     


    4. modules/integration_search/integration_search.view.php  에서

    function IS()  안에

    $config = $oModuleModel->getModuleConfig('integration_search');

    아래에다가 추가


    $logged_info = Context::get('logged_info');
    if((!$config->use || $config->use=='N') && $logged_info->is_admin!='Y') {
     return new Object(-1,'msg_not_permitted_act');
    }
    elseif($config->use=='M' && !$logged_info) {
     return new Object(-1,'msg_not_permitted_act');
    }
    elseif($config->use=='M' && $config->use_group) {
     $group_array = $config->use_group;
     foreach($group_array as $key_group=>$val_group) {
      $selected_group_srl = $group_array[$key_group];
      if($logged_info->group_list && $is_use_group!='Y') {
       $group_list = array_keys($logged_info->group_list);
       if($group_list && count($group_list) && in_array($selected_group_srl , $group_list)) {
         $is_use_group = 'Y';
         break;
       }
      }
     }
     if($is_use_group != 'Y') return new Object(-1,'msg_not_permitted_act');
    }

     


    5. modules/integration_search/lang/lang.xml 추가

    <item name="about_grant_access">
     <value xml:lang="ko"><![CDATA[회원만 사용하게 설정가능한 경우 사용 그룹 제한 가능. 설정이 안 되어있으면 모든 회원이 가능]]></value>
    </item>

    원본글 : http://sejin7940.co.kr/index.php?mid=xe_tips&document_srl=103487 제 사이트의 글을 가져온거기에 말이 좀 짧을 수 있습니다. ------------------------------------------------------------------- 통합검색 사용여부 설정 가능하게 설정 추가 하였다. 레이아웃에서 통합검색 폼을 안 만들어두면 통합검색이 안 될듯하지만 실제 주소를 알면 어느 사이트든 통합검... 더보기
  • 이미지
    2016-02-23
    글본문

    제가 능력이 모자라서, 스킨수정으로 만들었습니다.

     

    module/ integraion_search / skin /document.html

     

    파일에서 

     

     <ul class="searchResult"> </ul> 의 사이의 코드를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logged_info = Context::get('logged_info');
        $oModuleModel = &getModel('module');
        }
        <!--@foreach($output->data as $no => $document)-->
        {@ 
        $module $oModuleModel->getModuleInfoByDocumentSrl($document->get('document_srl'));
        $gg $oModuleModel->getGrant($module$logged_info);
     
        }
        <!--@if($gg->view)-->
     
            <li>
    [{$module->browser_title}]
                <!--@if($document->thumbnailExists(80))-->
                <a href="{getUrl('','document_srl',$document->document_srl)}" onclick="window.open(this.href);return false;"><img src="{$document->getThumbnail(80)}" alt="" width="80" height="80" class="thumb" /></a>
                <!--@end-->
                <dl>
                    <dt><a href="{getUrl('','document_srl',$document->document_srl)}" onclick="window.open(this.href);return false;">{$document->getTitle()}</a> <!--@if($document->getCommentCount())--><span class="reply">[<em>{$document->getCommentCount()}</em>]</span> <!--@end--></dt>
     
                    <dd>{$document->getSummary(200)}</dd>
                </dl>
                <address><strong>{$document->getNickName()}</strong> | <span class="time">{$document->getRegdate("Y-m-d H:i")}</span> | <span class="read">{$lang->readed_count}</span> <span class="readNum">{$document->get('readed_count')}</span><!--@if($document->get('voted_count'))--> | <span class="recom">{$lang->voted_count}</span> <span class="recomNum">{$document->get('voted_count')}</span><!--@end--></address>
     
            </li>
            <!--@end-->
        <!--@end-->

     

    를 넣어주시면 됩니다. 

     

    간단하게 설명드리면, logged_info와 모듈정보를 받아서 권한체크 해서 스킨에서 제외시켜줬습니다.

     

    comment 는 $document->docment_srl을 $comment->document->srl

    file과 멀티미디어는  $file->target_srl, $image->target_srl 로 넣어서 변경해주시면 됩니다.

     

    단점이 검색시에 페이지와 검색숫자가 변경이 안됩니다.

     

    view에서 걸러주면 좋을거 같은데.. 전 문서의 module을 불러와서 새로 module_srl_list를 만드는 법을 잘 모르겠어요

     

    능력자님이 해주실 거라고 봅니다. ^^ 

     

    권한에 관한 코드는 전에 컨텐츠위젯을 권한적용해놓으신 분것을 참고했습니다. 기억이 잘.. 

    제가 능력이 모자라서, 스킨수정으로 만들었습니다. module/ integraion_search / skin /document.html 파일에서 <ul class="searchResult"> </ul> 의 사이의 코드를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logged_info = Context::get('logged_info'); $oModuleModel = &getModel('module'); } <!--@foreach($output->data as $no =>... 더보기
  • 이미지
    2016-02-23
    글본문

    기본으로 탑재된 통합검색 모듈은 모바일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모바일 레이아웃에서의 통합검색 by 카르마
    https://www.xpressengine.com/tip/19766676

     

    추천검색어모듈(통합검색모듈) by 카르마
    https://www.xpressengine.com/index.php?mid=download&package_id=22753410

     

    그 밖에 스케치북 레이아웃(모바일)을 사용하시면 반응형이라서 모바일도 대응이 됩니다.


     

    스마트폰 인구가 급증하고 있지만 아직 모바일 레이아웃에서 통합검색을 지원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통합검색모듈에서 모바일 기능이 아직 들어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통합검색기능에 모바일기능을 넣어주고 모바일 레이아웃에서도  통합검색기능을 추가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레이아웃에 검색폼추가

    01.<div class="hd">
    02.<form action="{getUrl()}" method="post" class="search">
    03.<input type="hidden" name="mid" value="{$mid}" />
    04.<input type="hidden" name="act" value="IS" />
    05.<input type="hidden" name="where" value="{$where}" />
    06.<input type="hidden" name="search_target" value="title_content" />
    07.<input name="is_keyword" type="text" class="inputText"value="{htmlspecialchars($is_keyword)}"/>
    08.<input type="submit" class="bn dark" value="통합검색" />
    09.</form>
    10.</div>

    위의 소스를 사용하는 모바일 레이아웃의 layout.html의 적당한 위치에 추가해줍니다.

    1. layout.html 안에 작성된 통합검색 버튼을 누르면
    2. modules/integration_search/integration_search.mobile.php로 갑니다.
    3. integration_search.mobile.php은 modules/integration_search/m.skin/default/index.html을 불러 옵니다.
    integration_search.mobile.php 안의 코드 일부를 경로에 맞게 수정하여야 합니다.
    본문을 잘 읽으시고 그대로 따라 하면 됩니다. 


     

    기본으로 탑재된 통합검색 모듈은 모바일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모바일 레이아웃에서의 통합검색 by 카르마 https://www.xpressengine.com/tip/19766676 추천검색어모듈(통합검색모듈) by 카르마 https://www.xpressengine.com/index.php?mid=download&package_id=22753410 그 밖에 스케치북 레이아웃(모바일)을 사용하시면 반응형이라서 모바일도 대응이 됩니다. 스마트폰 인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