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소식이 있나요?
  • 이미지
    2007-11-13
      이번 5일날 배포된 제로보드XE Albatross 코드 (zbxe.bate.0.2.4 이상) 에서는 상당히 많은 변화가 있었기에 기존처럼 zbxe.버전.changed.zip 파일을 제공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기존 사용자는 zbxe.beta.0.2.4.tgz 파일이나 zbxe.beta.0.2.4.zip 파일을 다운로드받아 계정에 풀어야 했는데요,내부적으로 많은 부분이 변경이 되어 파일로도 추가되거나 제거된 부분이 있어 깔끔한 제로보드XE 사용을 원하시는 분들에게는files 디렉토리만 남기고 다른 부분은 제거 더보기
  • 이미지
    2007-10-03
    기존에 eond.com/zbxe란 폴더에 제로보드를 설치하고 eond.com/eond 으로 변경하고 싶을 때는 그냥 디렉토리명만 바꾸면 됩니다. ^^이 때 메뉴 이동은..이전 zbxe/ 아래에서 되는데 제대로 경로를 잡게 해주기 위해서는메뉴 모듈에 접속하여 메뉴트리에서 메뉴 하나를 선택한 뒤 다시 그대로 '저장'을 클릭해주시면 됩니다. 제대로 변경하려면 어떻게 하는 건지 혹시 알 수 없을까요?
  • 이미지
    2007-09-22
    소스를 보니깐 표현 부분에서 style=filter 부분의 따옴표가 제로보드XE에서 인식할 때 잘못 인식해서 그랬던 문제더군요. 그 문제는 해결을 했는데 그전에는 http://eond.com/scw.php 라는 주소를 사용했습니다. 제로보드XE에서 외부페이지모듈을 이용해서 파일을 불러올 때 http://eond.com/scw.php 라는 주소를 다 적어주었지요. 본래는 ../scw.php 라든가 /home/xynex/public_html/scw.php 라는 상대경로나 절대경로를 적어주는 게 맞는 방법이거든요. 그냥 http: 더보기
    thumbnail
  • 이미지
    2007-09-18
    1) 멀티미디어 자료관리 컴포넌트를 이용 동영상 주소 : ./files/attach/images/35001/711/117/b12b2f4167ab8c3e408eed9748c7602a.gif 2) 멀티미디어 자료관리 컴포넌트 이용 동영상주소 : ./files/attach/images/35001/711/117/75da9a9464be5bdf2084ca685044d782.gif 동영상내용 : 다른 사람의 채널에서 스크랩한 자료임 3) 판도라 컴포넌트 이용 동영상 주소 : 2번과 동일 ./files/attach/images/35001/7 더보기
  • 이미지
    2007-09-16
    아, 다 날라갔다..ㅠ_ㅠ
  • 이미지
    2007-09-12
    zbxe/modules/editor/components/multimedia_link|multimedia_link.class.phpLine 49~50..if(!$width) $width = 402;if(!$height) $height = 322; zbxe/modules/editor/components/multimedia_link/tpl|popup.htmlLine 24.. id="multimedia_width" value="402" Line 28.. id="multimedia_height" value="322"
  • 이미지
    2007-09-11
    <div class="readBody"><div class="contentBody">{$oDocument->getContent()}</div></div>이 부분이 바로 본문 부분입니다. 본문 상단에 구글 애드센스 광고를 넣고자 하시는 분은 이 코드 위에 구글 애드센스 코드를 입력하시고본문 하단에 구글 애드센스를 삽입하고자 하시는 분은 이 코드 아래에 구글 애드센스 코드를 입력하시면 됩니다.경로 : modules/board/skins/xe_board/view_document.html위치 더보기
  • 이미지
    2007-09-08
    이제 css 파일을 살펴보겠습니다. line41#dhtmlgoodies_menu{    /* Menu object */visibility:hidden;}visibility:hidden; 이라고 되어있는 부분을 지워줍니다.1차 메뉴의 스타일시트 코드가 보이지 않게 됩니다.아예 display:none;이라고 하면 메뉴 자체가 표시 되지 않습니다.line45#dhtmlgoodies_menu { position:relative; top:83px; height:38px;background:#424242;}backg 더보기
  • 이미지
    2007-09-08
    제목을 글보기 화면에서의 기능 건의라고 했는데, 관리자 화면에서의 문서 모듈 및 게시판 글보기 화면에서의 수정 기능에 대한 몇 가 건의, 그리고 이올린/올블로그 같은 기능의 제로보드 글모음 공간이 가능할지에 대한 생각입니다.우선 아래 스크린샷부터 보시고 아래 글을 읽어주세요.0. 전체적으로 문서 모듈에 대한 관리의 편의성이 이루어져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그에 대한 참조로 테터툴즈 글관리 화면을 좀 본땄으면 하는 바람입니다.1. 카테고리 변경이 간편했으면 좋겠습니다. 현재는 게시판 모듈에서 리스트화면에서는 카테고리 더보기
    thumbnail
  • 이미지
    2007-09-08
    '대상모듈'에서 선택되지 않은 모듈에서는 resizeOnly가 작동되지 않아야 하는 것이 기본이 아닌가?라이트박스의 대상이 아닌 모듈에서도 라이트박스의 작동이 되는 것은 오류이지 않는가.
    thumbnail
  • 이미지
    2007-09-08
    이번 시간에는 아래 스킨을 파헤쳐보겠습니다. 고라니님의 xe_official 메뉴 수정버전 ☞ http://www.zeroboard.com/4353400 (제로보드 공식사이트 > 제로보드XE > XE 스킨 자료실 > 레이아웃 스킨 7번 글 입니다.) arrow.gif   white.css   layout.html  menu.js 위 페이지에 접속하셔서 위의 4개의 파일을 각각 다운로드 받으세요. /zbxe설치디렉토리/layouts/xe_officials_tab/ 이 더보기
    thumbnail
  • 이미지
    2007-09-07
    제로보드, 제대로디비기 시리즈1.이모티콘 컴포넌트 소스 디비기※ 이 글은 제로보드XE에 사용되는 모듈, 스킨, 위젯의 소스에 대해서 설명합니다.이 글에서 사용되는 소스는 각 파일의 저작권자에게 있으며 설명글에 대한 저작권은 정낙훈에게 있음을 알립니다.또한 이 글을 수정, 배포하는 것은 허용하지 않으며, 이를 어길 시에는 법적인 제재가 따르니 주의해주십시오.· 한글제목 : 제로보드, 제대로디비기· 영문제목 : ZeroBoard, ZEDAERO DIBIGI· 부  제 목 : 이모티콘 컴포넌트 소스 디비기모듈의 위치 : 제로보드 더보기
  • 이미지
    2007-09-06
                              이 글에서는 제로보드XE 게시판의 기본 스킨 중에 하나인 제로보드XE 웹진게시판을 수정한                         xe_webzine 더보기
  • 이미지
    2007-09-04
    Simulz 님의 네이버 검색어 종류별 랭킹 위젯의 Eond Blu Edit 버전 스킨입니다.이 스킨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Simulz님의 네이버 검색어 종류별 위젯이 필요합니다.http://www.zeroboard.com/zbxe_pds_prog_widget/14290344이 스킨은 아래 디렉토리에 업로드해주세요./zbxe설치디렉토리/widgets/rank_nexearch/skin/eond_blu_edit위 디렉토리에서 이 스킨은 작동합니다.Simulz님의 네이버 검색어 종류별 랭킹 위젯의 기본 스킨과 마찬가지로갈색, 파랑색, 빨강 더보기
  • 이미지
    2007-09-04
    게시판 타이틀 {$widget_info->title}게시물 제목 getTitleText($widget_info->subject_cut_size)}웹진형최신게시물 제목 {$oDocument->getTitleText($widget_info->subject_cut_size)}게시물 링크 {$oDocument->getPermanentUrl()}#{$oDocument->getCommentCount()}[일반 최근게시물의 사용예제]<a href="{$oDocument->getPermanentUrl()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