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비물은 간단합니다.
http://github.com/new
초록색으로 한 것은 명령어 입니다.
![](/files/attach/images/2775/273/350/c7aee2230df76c3e8c49c7511dd4bde9.png)
2. git init 을 입력하여 git을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듭니다.(?)
git init
![](/files/attach/images/2775/273/350/2f9d3ef894bf7a889af5f03bc71832be.png)
3. 업로드할 파일을 만들거나 복붙 해옵시다.
저는 만들기로 테스트 하겠습니다.
윽 중간에 실수를..
touch grnf (만들 파일명)
echo "Blabla" > grnf(만든 파일명)
![](/files/attach/images/2775/273/350/b4120387785b5737656462560ea02146.png)
자, 이제 grnf (자신이 만든/복붙 한 파일/폴더) 가 untracked 상태로 됬습니다 (git status 로 확인 가능)
untracked 상태란 아직 git 레포지토리에 등록되지 않은 파일입니다.
git에 등록하고 싶으시면 무조건 add 해야 합니다.
자 add 와 commit 을 배워보겠습니다.
4. 저는 파일을 add 하고 commit 하고 싶습니다.
우선 git add 파일/폴더 주소(명) 을 입력합니다.
git add . 또는 git add 파일/폴더 주소(명) [여기서 . 는 모든 파일을 추가하겠단 뜻입니다. 편합니다]
그 다음 등록된 파일만 commit 하는 것도 있지만 저는 -am 이란 옵션을 붙혀서 자동으로 변한파일commit 을 하겠습니다
git commit -am "GRNF is the BEST"
하시면 파일이 등록되고 commit 되었습니다!
![](/files/attach/images/2775/273/350/652ed8b4364ef21b1f33503c1ce61c75.png)
git log
를 치시면 commit 한 내용/해쉬/날짜/저자 를 보실 수 있습니다.
5. git 에 업로드 해볼래요.
사실 이 작업은 조금 컴퓨터를 다루시거나, 눈치(?)가 백단(?)이시다면 스스로 가능합니다.
허나 전 이미 시작했기에 씁니다.
사실 git repository 를 만들면 친절하게 튜토리얼이 나와있습니다.
그 튜토리얼을 따라하시면 되겠습니다. (딱히 설명할게 없네요.)
여기서 master 란 명은 브랜치 이름입니다.
만약 사용자가 직접 branch 를 만들어서 checkout 하지 않고 push 할 때 그냥 master 로 넣습니다.
5번의 튜토리얼을 따라하셨으면, 자신의 repository에 들어가면 master란 단어를 찾으실 수 있습니다.
이걸 바꿔보겠습니다. (브랜치 잘 알아두시면 편합니다.)
git branch 브랜치명
git checkout 브랜치명
git branch 로 현재 브랜치 확인 가능!
![](/files/attach/images/2775/273/350/432b468c34a18217eae4fc41a9deac05.png)
그 다음 5번 튜토리얼에서 약간 바꾸면 됩니다.
2부에서 팁/활용을 적어 보겠습니다.
cherry-pick, conflicts, 각종 명령어, 용어 etc
- 빌드환경을 갖춘 우분투! (git 설치 우분투)
- git 계정! (http://github.com/ 에서 등록)
- github 사이트에서 repository를 만드세요
http://github.com/new
초록색으로 한 것은 명령어 입니다.
★ 자 그럼 시작 하겠습니다 !★
- 사용할 폴더를 만들거나 이동합시다.
mkdir special(만들 폴더명)
cd special(만든 폴더명)
![](/files/attach/images/2775/273/350/c7aee2230df76c3e8c49c7511dd4bde9.png)
2. git init 을 입력하여 git을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듭니다.(?)
git init
![](/files/attach/images/2775/273/350/2f9d3ef894bf7a889af5f03bc71832be.png)
3. 업로드할 파일을 만들거나 복붙 해옵시다.
저는 만들기로 테스트 하겠습니다.
touch grnf (만들 파일명)
echo "Blabla" > grnf(만든 파일명)
![](/files/attach/images/2775/273/350/b4120387785b5737656462560ea02146.png)
자, 이제 grnf (자신이 만든/복붙 한 파일/폴더) 가 untracked 상태로 됬습니다 (git status 로 확인 가능)
untracked 상태란 아직 git 레포지토리에 등록되지 않은 파일입니다.
git에 등록하고 싶으시면 무조건 add 해야 합니다.
자 add 와 commit 을 배워보겠습니다.
4. 저는 파일을 add 하고 commit 하고 싶습니다.
우선 git add 파일/폴더 주소(명) 을 입력합니다.
git add . 또는 git add 파일/폴더 주소(명) [여기서 . 는 모든 파일을 추가하겠단 뜻입니다. 편합니다]
그 다음 등록된 파일만 commit 하는 것도 있지만 저는 -am 이란 옵션을 붙혀서 자동으로 변한파일commit 을 하겠습니다
git commit -am "GRNF is the BEST"
하시면 파일이 등록되고 commit 되었습니다!
![](/files/attach/images/2775/273/350/652ed8b4364ef21b1f33503c1ce61c75.png)
git log
를 치시면 commit 한 내용/해쉬/날짜/저자 를 보실 수 있습니다.
5. git 에 업로드 해볼래요.
사실 이 작업은 조금 컴퓨터를 다루시거나, 눈치(?)가 백단(?)이시다면 스스로 가능합니다.
허나 전 이미 시작했기에 씁니다.
사실 git repository 를 만들면 친절하게 튜토리얼이 나와있습니다.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franco-c/tutorial.git
git push -u origin master
("franco-c = 자기 계정 이름이겠죠?
tutorial.git = 자기가 준비물에서 만든 repository 이름이겠죠?
자신의 git 계정이름을 입력하고
비번을 입력하세요 !비번 표시안되니 걱정하지마세요! ")
그 튜토리얼을 따라하시면 되겠습니다. (딱히 설명할게 없네요.)
※생략 가능※
?. git 에 등록했는데 master 란 이름이 거슬려요.여기서 master 란 명은 브랜치 이름입니다.
만약 사용자가 직접 branch 를 만들어서 checkout 하지 않고 push 할 때 그냥 master 로 넣습니다.
5번의 튜토리얼을 따라하셨으면, 자신의 repository에 들어가면 master란 단어를 찾으실 수 있습니다.
이걸 바꿔보겠습니다. (브랜치 잘 알아두시면 편합니다.)
git branch 브랜치명
git checkout 브랜치명
git branch 로 현재 브랜치 확인 가능!
![](/files/attach/images/2775/273/350/432b468c34a18217eae4fc41a9deac05.png)
그 다음 5번 튜토리얼에서 약간 바꾸면 됩니다.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franco-c/tutorial.git
git push -u origin 브랜치명
이제 업로드가 돼있을 겁니다.
이걸 이용하셔서 하고 싶은 것/테스트 하셔도 됩니다.
글 복사한걸 터미널에 붙혀넣고 싶으시면
Ctrl + C + V 키 누르시면 되요.
2부에서 팁/활용을 적어 보겠습니다.
cherry-pick, conflicts, 각종 명령어, 용어 etc
Thanks to Google
Thanks to 기억안나는 사람들...
Written by 프랑코c (@Des-fran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