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foreDocument(319859,4)--><div class="document_319859_4 rhymix_content xe_content"><div><font face="tahoma">서브 도메인 디렉토리별로 지정하기의 2탄 격입니다.</font></div><div><font face="tahoma">서브 도메인을 디렉토리별로 지정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font></div><div><font face="tahoma">RewriteEngine On</font></div><div><font face="tahoma">RewriteBase /</font></div><div><font face="tahoma">RewriteCond $1 !^(is)/</font></div><div><font face="tahoma">RewriteCond %{HTTP_HOST} ^is\.eond\.com [NC]</font></div><div><font face="tahoma">RewriteRule ^(.*)$ /is/$1 [L]</font></div><div><font face="tahoma"><br /></font></div><div><font face="tahoma">is 디렉토리를 만들고 is.eond.com 이렇게 접속하면 is 디렉토리로 접속을 하는 건데요,</font></div><div><font face="tahoma">이걸 xe 모듈로 접속하는 방법입니다.</font></div><div><font face="tahoma"><br /></font></div><div><font face="tahoma">RewriteCond $1 !^(mynote)/</font></div><div><font face="tahoma">RewriteCond %{HTTP_HOST} ^mynote\.eond\.com [NC]</font></div><div><font face="tahoma">RewriteRule ^(.mynote)?$ ./index.php?mid=mynote [L]</font></div><div><font face="tahoma"><br /></font></div><div><font face="tahoma">mynote 라는 모듈로 접속하고자 할 때 위 방법을 쓰면 됩니다.</font></div><div><font face="tahoma"><br /></font></div><div><font face="tahoma">mynote.eond.com 로 접속했을 경우 eond.com/mynote 의 페이지가 열립니다.</font></div><div><font face="tahoma">주소표시줄의 주소는 변함 없이 말이죠!</font></div></div><!--AfterDocument(319859,4)-->
서브 도메인 디렉토리별로 지정하기의 2탄 격입니다.
서브 도메인을 디렉토리별로 지정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RewriteEngine On
RewriteBase /
RewriteCond $1 !^(is)/
RewriteCond %{HTTP_HOST} ^is\.eond\.com [NC]
RewriteRule ^(.*)$ /is/$1 [L]

is 디렉토리를 만들고 is.eond.com 이렇게 접속하면 is 디렉토리로 접속을 하는 건데요,
이걸 xe 모듈로 접속하는 방법입니다.

RewriteCond $1 !^(mynote)/
RewriteCond %{HTTP_HOST} ^mynote\.eond\.com [NC]
RewriteRule ^(.mynote)?$ ./index.php?mid=mynote [L]

mynote 라는 모듈로 접속하고자 할 때 위 방법을 쓰면 됩니다.

mynote.eond.com 로 접속했을 경우 eond.com/mynote 의 페이지가 열립니다.
주소표시줄의 주소는 변함 없이 말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