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복구 콘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시스템을 재시작 합니다. Del(Delete) 키 또는 F2 키를 눌러 CMOS 창으로 이동하
여 Advanced BIOS Features 항목을 선택하시고, First Boot Device 를 - 또는 + 키를 이
용하여 CD-ROM 으로 설정합니다.
설정 후, F10 키를 눌러 저장 후 나옵니다.
이제 운영체제 CD 를 넣으시기 바랍니다.
press any key boot from CD... 라는 메시지가 나타나면 키보드의 아무키나 눌러 주시기
바랍니다. 기본적으로 Enter 키를 많이 누릅니다.
아무키를 누르시면 XP CD 를 통한 부팅이 이루어지는데, 부팅이 완료되면
새로설치(Enter 키)
복구(R 키)
라는 2가지 항목이 나타납니다.
R 키를 눌러 복구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복구 화면은 cmd(도스화면)으로 이루어져 있으
며, 처음 명령어로는 C:\WINDOWS>_ 으로 시작됩니다.
수정할 운영체제를 선택하셔야 합니다.(1:WINDOWS)
"1" 을 누르시길 바랍니다.
그다음은 사용자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시기 바랍니다. 만약 사용자 및 비밀번호가 없으시
다면 Enter 키를 누르시고 그냥 넘어가시면 됩니다.
이제 윈도우 시스템 파일 복구 명령어를 알려 드리겠습니다.
입력란에 chkdsk /r 을 입력하시고, Enter 키를 눌러 주시기 바랍니다.
곧 복구 과정이 진행됩니다. 복구 과정이 완료되기전까지 강제 종료 및 강제 재부팅을 하
지 마시기 바랍니다. 복구 과정이 완료되면 exit 를 입력하시고, Enter 키를 누릅니다.
그러면 시스템이 재시작 됩니다.
이제 다시 Del(Delete)키를 눌러 CMOS 로 이동하여 Advanced BIOS Features 항목을
선택하여 처음 First Boot Device 를 원래상태로 되돌려 놓으시고, F10 키를 눌러 저장
후 나갑니다.
이제 정상적으로 부팅을 하시고, 문제점이 지연되는지 확인 해보시길 바랍니다.
제목 | 날짜 | ||
---|---|---|---|
143 | [리눅스서버] 웹서버 nginX 이미지 등의 외부링크 막기 | 269 | 2017/04/16 |
142 | [윈도우서버] vultr 에 윈도우 서버 iso 사용하기 | 714 | 2017/04/17 |
141 | [윈도우서버] 윈도우 서버 2016 | 135 | 2017/04/17 |
140 | [리눅스서버] upstream 500 에러 / 오류 잡기 / socket 제한 | 251 | 2017/04/18 |
139 | [리눅스서버] 리눅스 소켓 접속 수 제한 풀기 | 837 | 2017/04/18 |
138 | [사이트관리] 사이트 실시간 접속자 체크 스크립트 | 360 | 2017/04/19 |
137 | [리눅스서버] nginx upstream 성능 최적화 | 120 | 2017/04/24 |
136 | [리눅스서버] Got a packet bigger than 'max_allowed_packet' bytes 문제 | 237 | 2017/05/05 |
135 | [리눅스서버] [CentOS] 가비아 서버 사용법 | 0 | 2017/05/06 |
134 | [Nginx] [Nginx+Rewriterule] apache / nginx 에서 .php 생략하기 | 330 | 2017/05/30 |
133 | [텔넷] tbz2/tar.bz2 압축, 압축 해제 | 2093 | 2017/05/30 |
132 | [Nginx] nginx rewrite 룰 | 0 | 2017/05/30 |